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Ukraine war and the 6·25 Korean War represent limited-scale international conflicts of the 21st and 20th centuries, respectively. These two wars share similarities in three aspects. Firstly, the aggressor attempted to justify the war with an argument that lacked validity for the invading party. Secondly, both wars witnessed arbitrary decisions made by non-expert leaders regarding war and military strategy. Dictatorship, as a system, facilitated unreasonable war decisions. Thirdl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allied to support Ukraine and Korea, recognizing the unfair attempts made to rationalize the invasion wars. Additionally, Russia and North Korea, the initiators of these wars, had already formulated meticulous occupation policies prior to the conflicts, resulting in inhumane acts such as torture, killings, and civilian abductions in the occupied regions. However, the Ukraine war distinguishes itself by being fought on a battlefield that utilized advanced weapons like cyber warfare and drones, owing to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network-centric society of the 21st century, which was not the case in the 6·25 Korean War. Ultimately, the war in Ukraine, stemming from Russia's misguided decision, is likely to have consequences that accelerate the demise of Putin's regime.
우크라이나 전쟁과 6·25전쟁은 각각 21세기와 20세기의 제한된 규모의 국제 분쟁을 나타내며,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과 아시아에서 영토 획득을 위한 최초의 침략전쟁이라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 이 두 전쟁은 세 가지 측면에서 유사성을 공유한다. 6·25전쟁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모두 “인정된 행위자” 범주를 제외하고 ‘정의로운 전쟁(Jusr War)’의 원칙을 위반했다. 첫째, 침략자는 침략 당사자에 대해 타당성이부족한 개전의 명분을 통해 전쟁을 정당화하려고 시도했다. 둘째, 두 전쟁 모두 전쟁과군사 전략에 관한 식견이 부족한 지도자의 자의적인 결정에 의해 이루어졌다. 국내체제의 문제인 독재는 체제상 비합리적인 전쟁 결정을 용이하게 했다. 셋째, 국제 사회는침략 전쟁을 합리화하기 위한 부당한 시도를 인식하고 우크라이나와 한국을 지지하기위해 결집했다. 또한, 이들 전쟁의 발단 국가인 러시아와 북한은 전쟁 이전에 이미치밀하게 점령 정책을 수립하여 점령 지역에서 고문, 살해, 민간인 납치 등 비인간적인행위를 초래했다. 반면 우크라이나 전쟁은 6·25전쟁에는 없었던 21세기 기술 발전과네트워크 중심 사회로 인해 사이버 전쟁과 드론 등 첨단 무기를 활용한 전쟁터에서치러진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고 있다. 궁극적으로 러시아의 잘못된 결정에서 비롯된우크라이나 전쟁은 푸틴 정권의 붕괴를 가속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우크라이나 전쟁, 6·25전쟁, 지정학, NATO, 사이버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