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근현대 한학자 후창 김택술 한시에 있어서의 양태, 즉 절망과 희망이라는 상충적 의상을 살펴보고 그 함의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주지하듯 근현대는 일제강점기, 광복, 6.25동란 등 역사의 굵직한 사건이 있는 시기이다. 당시를 보냈던 한학자 김택술은 西勢東漸이 심해지자 衛正斥邪를 실천하고자 노력한 인물로서, 탄포와 총알이 오가는 세상을 한탄하는가 하면, 날마다 그의 집 앞에 총칼로 무장한 채 줄지은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기도 했다. 그렇기에 그의 시에는 근심과 탄식이 주를 이룬다. 그것은 그가 밝힌 것과 같이 나라가 망하고 도가 없어진 때를 당해서이다. 결국 그 감정의 결은 절망가로 읊어졌다. 하지만 흥쇠를 반복하는 자연처럼 인간사도 그러할 것이라고 믿은 후창은 맑고 밝은 심상 또한 노래하며 희망을 노래하기도 했다. 청산, 달, 높은 산, 맑은 물 등을 읊으며 그 안에서의 소쇄함과 청명함을 드러내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유학을 통해 얻은 節義, 誠敬, 無私心 등의 가르침으로 그 근심을 극복했으며, 청명한 의상은 결국 희망가로 이어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flicting image of despair and hope in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scholar Kim Taek-sul's poetry and examines what it means. As is well known, modern and modern times are the periods of bold events in Korean history, such as Japanese colonial era,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Kim Taek-sul, a scholar of Chinese literature who spent that time, was a person who tried to protect the rightness of China and defeat evil, lamenting the world of bullets and bullets, and realistically describing how he lined up armed with a gun knife in front of his house every day. Therefore, his poems are mainly filled with anxiety and sighs. That's because, as he said, the country went down and the road went down. In the end, the emotion was recited as a song of despair. However, Hu Chang, who believed that human history would be the same as nature, which repeats the rise and fall, also sang a clear and bright image and sang hope. Cheongsan Mountain, the moon, high mountains, and clear water were recited, revealing the smallness and clarity in them. In addition, the anxiety was overcome by the teachings of 節義, 誠敬, 無私心 acquired through studying abroad, and the clear costume eventually led to a hopeful 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