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실천지(phronesis, prudentia) 개념의 역사는 크게 두 전통으로 나뉜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함께 시작된 첫 번째 전통은 합리적 계산 능력으로서 그것을 정의한다. 두 번째 전통은 키케로에 의해 구현된 수사학적 탁월함으로 개연성의 세상에 대처하는 지적 능력으로 정의된다. 근대 사회에서 두 번째 전통은 자연과학의 우세에 밀려 쇠약해지기는 했지만, 정치의 영역에서 여전히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공리주의의 창시자 벤담에 대한 오랜 편견 중 하나는 그가 쾌락 계산법을 발명한, 계산적 합리성의 맹신자라는 주장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오히려 실천지의 두 번째 전통에 충실했던 벤담의 모습을 소개하고자 한다. 1810년대 의회개혁을 추진하면서 그가 집필한 『오류논증집』이 주요 텍스트이다. 이 책은 정치인들의 수사학을 해부한 벤담의 역작으로 한 편의 정치풍자이자 분석적 정치이론이다. ‘소수 통치자와 다수 신민’이라는 정치분석의 기본 프레임에 숨겨진 벤담의 의도는 그가 왜 공감보다 반감을 민주주의 사회의 필수적 파토스로 내세웠는지를 말해 줄 것이다.


There has been a basic division within the history of the phronesis between two traditions. The first, originated with Aristotle, defines it as the capacity for rational calculation. The second, embodied by Cicero, defines it as the rhetorical performance in the world of probability. In the modern era, this second tradition has been weakened by the rise of the natural sciences, but it has remained vital in the realm of politics. One of the long-standing prejudices against Bentham, the founder of utilitarianism, is that he was a devotee of arithmetic rationality, inventing the famous calculus of pleasure and pain. In this paper, I will present a picture of Bentham as an intellectual who was faithful to a second tradition of phronesis. The main text of my research is his Book of Fallacies, written in the 1810s while he pushed for parliamentary reform. This book is Bentham's masterpiece dissecting the rhetoric of politicians ; it is as much a pierce of political satire as it is of political analysis. If we understand Bentham's intention behind the basic frame of his political analysis, which is the confrontation between few ruler and many subjects, we can also understand why he proposed antipathy rather than empathy as the indispensable pathos of a democratic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