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고대 일본 지배층의 지위는 율령에 규정된 위계(位階)에 의해 보장되었고 위계를 지닌 자에게는 정치·경제·사회적 특권이 부여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위계 계승을 돕기 위하여 자손들에게 음위(蔭位)를 설정하였다. 하지만 위계는 관인(官人) 개인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관인이 속한 지배층 집단의 신분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기에는 애매한 점이 있었다. 나아가 시대가 지나 위계 질서에 변화가 나타나고 귀족사회가 재편됨에 따라 발생하는 새로운 신분 계층에 대한 명칭의 고안이 필요해졌다. 이 논문에서는 지배층 중에서도 상류 귀족층에 대한 명칭인 ‘귀종(貴種)’에 주목하여 그 명칭이 등장한 배경과 양상을 살펴보았다. 귀종 이전에는 음위제 하에서 음위를 부여받는 음자(蔭子)와 음손(蔭孫), 즉 음자손의 존재가 확인된다. 그런데 음손 중에는 음위의 수여 대상이 아닌 4, 5위 관인의 손자도 포함되었다. 음자손은 그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말이지만 음위를 받아 지위를 세습하게 되는 특정 가문의 혈통이나 신분 계층을 가리키는 명칭은 아니었다. 9세기에 들어 3위 이상의 관인, 즉 귀(貴)의 자제들에게 관직 진출의 루트를 보장해 주는 귀족화 정책이 진행되었고, 이에 반대한 문인귀족은 귀의 자제를 ‘귀종’이라고 부르며 그들이 아버지와 같은 지위를 계승하는 경향을 지적하였다. 이후 10세기로 들어서면서 대신, 공경(公卿) 등의 고위 관직은 특정 가문들에 의해 과점되는 상황이 펼쳐졌고, 문인귀족들은 상류 귀족층에 협력하면서 이들에 대한 ‘귀종’ 표현을 공유해 나갔다. 그 결과 제도나 법률상에 규정되지 않았지만 현실 사회에 존재했던 계층 집단인 상류 지배층에 대하여 귀종이 신분 명칭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The status of the ruling class in ancient Japan was secured by Imperial court ranks prescribed by the ritsuryo codes, which grante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rivileges to those who held them. To help ensure the succession of the court rank, descendants of high-rank officials were awarded on-i(蔭位), certain ranks based on his father or grandfather’s rank. However, court ranks were given to individual officials and were ambiguous as indicators of the status of the ruling group. Over time, changes in the order of court rank occurred, and as aristocratic society was reorganized, new classes arose, and it became necessary to devise names for them. This study is to focus on kishu(貴種, noble birth), a name for the upper aristocratic class, and find out the background and aspects of its emergence. In the 8th century, the existence of onshi(蔭子) and onson(蔭孫), or onshison, who were awarded certain court ranks according to on-i system, is confirmed. However, onshison also included the grandsons of the 4th and 5th ranking officials who were not eligible to receive an on-i. While the term was used to define a person's relationship to their father or grandfather, it did not designate a specific family lineage or status class which would get on-i and inherit the status. In the 9th century, the policy of aristocratization was undertaken that guaranteed a pathway to government office to the children of 3rd rank officials, while the opposing literati aristocracy referred to those as “kishu”, noting their tendency to inherit the same status as their fathers. Instead, as the 10th century progressed, high-level government positions became dominated by a few families, and the literati aristocracy cooperated with the upper aristocracy and shared the expression “kishu” with them. As a result, kishu became a status designation for the upper ruling class, a class group that was not defined by institutions or laws but existed in real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