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Taba의 교육과정 개발 이론에 기반하여 현재 개발 중인 2022 개정 초등 통합 교과서의 내용 조직을 살펴보고 의의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Taba(1962)의 이론에 나타나는 내용 조직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추출하였다. 첫째, 진단 단계를 도입하여 개발하려는 교육과정과 관련해 학생을 진단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해 조직하도록 이끌고 있다. 둘째, 2단계에서 목표를 이후 내용을 이끄는 역할 뿐만 아니라 이전 내용을 종합하고 공통성을 찾는 역할로도 논의한다. 이에 교실에서 교육과정 내용을 연역적 뿐 아니라 귀납적으로도 조직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게 한다. 셋째, 3~6단계에서 내용과 학습경험을 구분하고 조직 원리를 구분함으로써 지식을 축적하는 방법 뿐 아니라 학습에 효과적인 조직 방법을 고려하도록 한다. 넷째, 각 단계를 선형적이 아닌 순환적인 것으로 설명한다. 이에 내용 조직을 모든 단계와 관련을 맺는다는 의미에서 개방적으로 접근한다. Taba의 내용 조직의 특성을 통하여 2022 개정 통합교과서의 내용 조직을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의의를 논의할 수 있었다. 첫째, 배움 지도를 통해 학생의 필요에서부터 교육과정 내용을 조직하도록 교육과정 개발을 순환적으로 이끌고 있다. 둘째, 이야기 모형은 교실에서 교육과정 내용이 귀납적으로 조직되는 모습을 인식하게 해준다. 셋째, 모듈형 수업 묶음은 교실에서 실제 학생의 학습경험을 고려하여 내용을 조직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study discusses the meaning of content organization of 2022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in Korea based on Taba’s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For this, Taba’s (1962) theory was review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learning experiences) organization as follows: (1) Diagnosis leads the curriculum contents (learning experiences) organization centering on students’ needs. (2) Objectives are not confined to regulate the following contents (learning experiences) but to generealize and find common focus of the activities which students have engaged in. This shows that curriculum development in classrooms can be also organized inductively. (3) Contents and learning experiences are divided to reveal their respective ways for organization. The meaning of 2022 Integrated subjects textbook content organization is then discussed (1) “Learning Map” leads the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students’ needs in a circular way; (2) “Story Model” recognizes the inductive way of curriculum organization in classrooms; (3) “Modules” allow teachers and students organize contents considering learning experiences of real students in classro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