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다양한 기술이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연령 및 다른 정보취약계층에 비해 장노년층은 디지털 정보격차가 심각하게 나타나 정보 불평등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장노년층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2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를 통해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Ordered logistic regression)과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장년층과 노년층 집단 모두에서 디지털 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디지털 리터러시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기기 보유 여부로 측정한 디지털 접근성은 장년층의 경우 컴퓨터를 보유할수록 노년층의 경우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를 보유할수록 디지털 리터러시 중 기술적 이용역량이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년층보다 장년층에서 사회적 자본이 풍부할수록 디지털 리터러시 중 사회참여능력과 정보평가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장노년층의 디지털 격차와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복지의 궁극적인 목표인 장노년층의 삶의 만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Despite the emergence of various technologies aimed at making life more convenient due to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digital information gap remains pronounced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and populations vulnerable to information dispar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digital literacy among the elderly. To achieve this,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2022 Digital Information Disparity Survey conducted by Ministry of Science and ICT(MSIT) and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in both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higher self-efficacy regarding digital devices and a positive attitude toward digital technology had a positive impact on digital literacy. Digital accessibility measured by the possession of digital devices showed that in the case of the middle-aged group, owning a computer led to an improvement in the technical usage proficiency within digital literacy. Conversely, for the elderly group, owning a computer, smartphone, and smart pad resulted in an enhancement of technical usage proficiency within digital literacy. Furthermore, among the middle-aged group, a greater level of social capital led to an improvement in social participation and information assessment abilities within digital literacy, compared to the elderly group.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explore strategies to alleviate the digital gap and inequality among the elderly, contributing to the ultimate goal of enha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which is one of the objectives of welf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