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empirical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stablishment of art-based social enterprises (ASEs) across 16 metropolitan/provincial governments of South Korea from 2007 to 2022. Given the community-oriented nature of ASEs, we examined the organizational resources of local governments (i.e., population size, social welfare budget, financial independence) and the presence of policies in other local governments as the primary independent variables. Our analysis reveals that a lower social welfare budget in a region or a higher proportion of young adults in the population increased the likelihood of establishing ASEs. Conversely,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ASEs in other regions, unemployment rate, and total population do not exhibit significant effects. Interestingly, we observ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ASEs underwent chang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present findings on the distinctions between ASEs and general social enterprises yield empirical evidence that ASEs can effectively address social issues. This work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ASEs to foster the growth of the arts and culture sector, particularly in the post-COVID-19 era.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22년까지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산하 문화예술사회적기업들(Art-Based Social Enterprises)이 설립되는 이유를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대부분의 사회적기업이 지역공동체에 기반을 두고 운영되기 때문에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자원(인구 규모, 사회복지 예산 비율, 재정자립도 등)과 다른 광역지방정부의 정책 수립 여부를 주요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지역의 사회복지 예산 비중이 낮거나, 청년층 인구 비중이 높을수록 문화예술사회적기업 설립 가능성이 높은 반면, 다른 지역의 문화예술사회적기업 수 및 실업률과 전체인구 수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 나아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문화예술사회적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변화한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문화예술사회적기업과 일반적인 사회적기업의 차별점에 대해 고찰하고, 문화예술사회적기업이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실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문화예술 분야 발전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사회적기업의 설립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