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수사학에서 비유의 유형을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지 고찰했다. 두 언어에서 모두 직유, 은유, 풍유를 비유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반면, 중국 수사학에서는 借喩를 비유의 기본 유형으로 다루고 있지만, 한국어에서는 주요 유형으로 다루고 있지 않으며, 은유의 하위 유형에 포함시키고 있다. 또한 한국어 수사학에서는 의인, 의물, 대유(환유, 제유), 의성, 의태 등을 비유의 전형적인 유형으로 다루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이와 유사한 개념인 比擬, 借代는 비유와 다른 갈래의 수사법으로 분류하고, 의성, 의태는 중국어 수사법에서 다루지 않는다.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비유의 유형을 다르게 분류하는 까닭은 비유를 분류하는 기준이나 비유의 구성 성분에 대한 시각이 다르기 때문이다. 중국어에서는 비유 대상이 표층구조에서 반드시 나타나야 비유로 보고, 유사성을 비유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보는 반면 인접성이나 관련성은 비유의 요소로 보지 않는다. 반면 한국어에서는 비유 주체나 비유 대상의 출현 여부에 대해 별다른 제약이 없으며, 유사성뿐만 아니라 인접성이나 관련성도 허용한다.


In this paper, the types of figurative language in Korean and Chinese were contrasted. As a result, both languages classify similes and metaphors as types of figurative language. On the other hand, in Chinese, 借喩 is treated as a basic type of figurative language, but in Korean, it is not mentioned at all, or if does, it is included in a subtype of figurative language. In addition, while Korean treats Metonymy, Synecdoche, Personification as typical types of figurative language, Chinese classifies similar concepts such as 比擬 and 借代 as branches of rhetoric, different from figurative language. Korean and Chinese classify figurative language differentl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r the components of figurative language. In Chinese, a “vehicle” must appear in the surface structure to be a figurative language, and “similarity” is regarded as an essential component, while “contiguity” or “relevance” is not considered as a component of figurative language. However, in Korean, there is no restriction on whether a “tenor” or “vehicle” appears, and there is a tendency not to strictly restric conditions such as “simil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