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패전을 계기로 ‘천황주권에서 인민주권’으로 권력적 이행을 논한 것을 두고 ‘전후 혁명’이라는 논점이 제시되었다. 그것은 ‘종말’과 ‘새로운 시작’ 사이라는 간극을 갖는 기회였다. 이 시기 무라오카가 노리나가학을 서양의 베크(Boeckh)의 문헌학과 동일하다고 보고, 노리나가학이 고대를 재현하는 방식에 나타난 정신혁명 내용이 무엇이었는지를 고찰한다. 무라오카는 학문의 분화를 전습(傳習)과 인자들의 특징들이 주류가 되어 구축된 것이라고 보면서 일본의 천황 국가를 설명해 냈다. 그렇지만, 이 논리는 순수 국학자인 야마다 요시오에게 비판을 받게 되고 히라이즈미는 자연적 국체론을 부정하고 작위적 국체론이 등장한다. 한편 쓰다 소키치는 일본의 국학이 중국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점을 비판하고, 일상 민중이 생각하는 국체론을 통해 재구성해야 한다고 논했다. 와쓰지는 야마다 요시오나 히라이즈미와는 달리 국체가 위정자들에 의해 형성된 것을 비판하고 민중의 정신세계에서 이어져 온 것임을 강조한다. 그리하여 그것은 국민들이 개인을 버리고 공공을 위해 헌신하는 도덕으로 국체가 유지된 것이라고 논한다. 마루야마는 이러한 논점들을 종합하면서국학의 탄생은 유학의 재구성과 연결해서 재해석을 시도한다. 그리하여 일본 국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한포용성의 논리를 이해해야 한다고 보게 되었다. 이것은 결국 전후 일본이 자유민주주의라는 시대적 대세 속에서 일본의 국체를 재인식하는 기회였음에도 불구하고 천황제를 상대화 하는 인식혁명을 잃게 되는 논리들을 보여준 것이다.


In the wake of the defeat, the debate over the transition of power from “emperor” to “people” was interpreted by some scholars as a "postwar revolution." It was an opportunity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end" and the "new beginning. During this period, Muraoka sees Norinagakkai(Norinaga’s research) as the Western equivalent of Boeckh's philology, and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mental revolution that appeared in the way Norinagakkai reproduced antiquity. Muraoka explains Japan's imperial state by viewing the differentiation of disciplines as the mainstreaming of traditional and scholarly characteristics. However, this logic is criticized by Yoshio Yamada, a scholar of Japanese national studies, and Hiraizumi rejects the theory of natural Japanese national sovereignty in favor of artificial state theory. Meanwhile, Sokichi Tsuda criticized Japanese national studies for failing to break away from the Chinese mindset and argued that it should be reconstructed through the nationalism of everyday people. Watsuji, unlike Yamada Yoshio and Hiraizumi, criticizes the idea that the nation-state was formed by officials and emphasizes that it was inherited from the mentality of the people, and that it was sustained by the morality of the people abandoning the individual and devoting themselves to the public. In synthesizing these arguments, Maruyama attempts to reconstruct the birth of national studies by linking it to the reconstruction of Confucianism. In order to understand Japanese nationalism, he sees it as a logic of infinite tolerance. This, in turn, shows how Japan lost the chance of epistemic revolution to relativize the Japanese emperor when there was an opportunity to newly perceive the Japanese national sovereignty in the mainstream of liberal democracy of the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