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급과 수요’는 평이한 듯하면서도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경제 용어다. 이백여 년 전에는 더욱 그랬고, 그 후로도 오랫동안 그랬다. 본 연구는 182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미국에서 출간된 경제학 교과서가 ‘공급과 수요’를 어떤 의미로 어떻게 사용했는지 살펴본다. ‘수요’는 그 의미가 안정화된 뒤 한계효용이론의 도움으로 소비자의 효용극대화와 시장가격을 연결하는 개념으로 정착하는데, 그 과정이 시간은 걸렸으나 순조로웠다. 이에 비해 ‘공급’은 두 차례의 의미 변환을 거친 뒤에도 생산자의 이윤극대화와 시장가격을 연결하는 개념으로 정착하기까지는 많은 혼란을 거쳤고, 그 혼란은 1920년대 교과서에서도 계속된다.


‘Supply and demand’ is an economic term that may seem straightforward but can cause confusion. This was especially true over two hundred years ago, and it continued to be the case for a long time thereaft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term in the economic textbooks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1820s to the 1920s. After its meaning was stabilized, ‘demand’ settled into a concept connecting consumers’ utility maximization and market prices with the help of the marginal utility theory. Although this process took time, it was relatively smooth. In contrast, ‘supply’ underwent two shifts in meaning and experienced considerable confusion before finally settling into a concept that connects producers’ profit maximization and market prices. This confusion persisted even in textbooks in the 192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