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발언 행동 간 관계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지각된과잉자격이 발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권한위임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국내 직장인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심리적 특권의식이 높을수록 과잉자격을 더 느끼고, 과잉자격을 느낄수록 발언 행동을 덜 하였다. 이러한 관계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발언 행동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그리고 권한위임은 지각된 과잉자격과 발언 행동 간 관계를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과잉자격과 발언 행동 간 부적 관계는 권한위임이 높은 경우에 완화되었다. 또한 권한위임은 지각된 과잉자격을 통한 심리적 특권의식과 발언 행동 간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권한위임이 높을수록 심리적 특권의식과 발언 행동 간 관계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의 매개효과가 약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overqual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voice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deleg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overqualification and voice behavior,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delega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psychological entitlement, perceivedoverqualification, and voice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employeesworking at various companies in Korea and whose perceived overqualification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voice behavior, andwhere deleg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voice behavior. Specifically, the study found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voice behavior is weak when delegation is high. Futhermore, delegation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voice behavior. Based on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