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선행요인을 탐구한 것이다. 감정적 반응은 즐거움, 각성, 지배의 세 가지 차원을 활용하였다.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혁신성과 자극추구성향을 핵심적인 독립변인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로 구분하여 세대별 차이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감정적 반응에서는 혁신성과 자극추구성향이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각성도 혁신적인 소비자와 자극추구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배 감정에는 혁신성과 자극추구성향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혁신성과 세대차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세대별 차이는 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조절효과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 수용에 미치는 소비자의 개인적인 특성 변인의 역할과 세대차이의 조절효과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eceding factors affecting the emotional response to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recognized by consumers. The emotional response used three dimensions: Pleasure, Arousal, and Dominance. Innovation and sensation seeking,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accepting new technologies, were used as key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the effect of adjusting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millennials and older genera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emotional response to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novation and stimulus-seeking orientation were affecting pleasure. arousal was also found to be highly felt by innovative consumers and those with high propensity to pursue stimulation. Innovation and stimulus-seeking tendencies were influencing the ruling emotions. The interaction effect of innovation and generation gap was found.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did not have a main effect and no moderating effect was found.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on technology accept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tion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