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이 어떻게 시청자의 연애 및 결혼 기대감으로 이어지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계발효과 이론과 사회 비교 이론에 기반하여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 경험이 연애 및 결혼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비교와 사회적 시청이 매개변수 역할을 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를 위해 2022년 11월 17일부터 11월 21일까지 SBS플러스의 <나는 솔로> 프로그램 시청 경험이 있는 전국 만 19세 이상 미혼 성인남녀 27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는 솔로> 프로그램 시청은 시청자의 연애 및 결혼 기대감과 모두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둘째, 시청 빈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비교 및 사회적 시청 역시 모두 증가하였다. 셋째, 사회적 비교는 <나는 솔로> 시청이 결혼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나는 솔로>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할수록 사회적 비교가 증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결혼 기대감이 높아졌다. 다만 연애 기대감에 대해서는 동일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회적 시청은 사회적 비교와 달리 매개변수로 어떠한 역할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문화계발효과 연구의 발전과 한국 사회의 혼인율 제고를 위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watching the reality dating show leads to viewers’ romantic relationship and marriage expectations. Based on the cultivation theory and the social comparison theory, we examined the effects of watching the reality dating show on romantic relationship and marriage expectations, with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viewing as mediating variables. By analyzing survey data from 277 unmarried adults who had watched <I am Solo> on SBS Plus, we found that viewing of the reality dating show was positively related to both romantic relationship and marriage expectations. Regarding the mechanism through which viewing the reality dating show produces the cultivation effects, social comparison played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of the reality dating show and marriage expectation. However, social viewing did not mediate the associ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