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신라말 창건된 순천 송광사는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사찰이다. 1950년 한국전쟁 전후 송광사는 극심한 피해를 입었다. 특히 대부분의 전각이 불타면서 귀중한 문화유산이 사라졌다. 이후 스님과 신도들의 노력으로 중창불사를 진행해 면모를 일신했다. 인암(忍庵, 1908~1986) 스님의 『인암시조선(忍庵時調選) - 송광사순례시조(松廣寺巡禮時調)』에는 근현대기 송광사의 생생한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 이 책에는 279편의 시조가 실려 있다. 1부 송광사, 2부 조계산, 3부 나무와 꽃, 4부 자화상, 5부 전쟁과 피난살이, 6부 산거(山居), 7부 잡사(雜事), 8부 회향(廻向)으로 문단을 구성했다. 『인암시조선』에 실린 작품 대부분은 시조 형식이다. 크고 작은 사건을 중심으로 송광사의 근현대 역사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수행과정에서 느낀 소회나 자연풍광을 바라보는 감상도 담았다. 해방, 한국전쟁 등 국가적 사건은 물론 불교계 상황을 기록했다는 점도 의미 있다. 1951년 4월 7일 대화재가 발생했을 당시 불길을 잡기 위해 사선을 넘나든 스님들의 이야기 등 송광사의 긴박한 상황이 생생하게 기록돼 있다. 이 책의 내용을 살펴보면 인암 스님은 겸손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출가자의 위의를 지키며 오직 부처님과 송광사를 위한 충심을 지니고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효봉, 구산, 향봉, 취봉, 문곡 스님 등 송광사와 인연이 깊은 스님들을 회고하고 있다. 출가 이후 평생 머문 송광사에 대한 남다른 애정도 느낄 수 있다. 인암 스님의 『인암시조선』은 20세기초부터 20세기말까지 격동의 시대를 산 한 출가수행자가 경험한 개인사, 불교사, 한국사를 가감없이 기록했다는 점에서 사료적, 문학적 가치가 있다.


Founded at the end of Silla, Suncheon Songgwangsa Temple is a representative temple of Korean Buddhism.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in 1950, Songgwangsa Temple suffered severe damage. In particular, most of the temples were burned, and precious cultural heritage disappeared. Since then, with the efforts of monks and believers, he has carried out the Jungchang Buddhist Temple and changed his appearance. Inam(1908-1986), Monk Inam's "Inam shijoseon(時調選)- Songgwangsa Temple pilgrimage shijo(時調)" records the vivid appearance of Songgwangsa Templ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he book contains 279 pieces. The paragraph was composed of part 1 Songgwangsa Temple, part 2 Jogyesan Mountain, part 3 trees and flowers, part 4 a self-portrait, part 5 war and refuge, part 6 Staying in the mountains, part 7 miscellaneous affairs, and part 8 parinamana. Most of the works in "Inam shijoseon(時調選)" are in the form of shijo(時調). It describes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Songgwangsa Temple, focusing on large and small events. It also contains thoughts on the performance and thoughts on looking at the natural scenery.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recorded national events such as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as well as the situa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The urgent situation of Songgwangsa Temple is vividly recorded, including the story of monks who crossed the line to control the flames when the Great Fire broke out on April 7, 1951.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is book, it can be seen that Buddhist monk Inam maintained a humble attitude, kept the dignity of the monk, and carried out it with loyalty only for Buddha and Songgwangsa Temple. It also recalls monks who have deep ties to Songgwangsa Temple, such as Hyobong, Gusan, Hyangbong, Chuibong, and Mungok. You can also feel a special affection for Song Gwang-sa Temple, who has stayed for the rest of his life since his birth. Monk Inam's "Inam shijoseon(時調選)" has historical and literary value in that it records personal history, Buddhist history, and Korean history experienced by a Buddhist monk who lived in a turbulent era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end of the 20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