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요가와 도교의 윤리학 체계는 각각 해탈과 불노장생을 그 목표로하여설정되어 있다. 요가는 자신의 철학적 체계를 상키야철학에 그 토대를두고 있으나, 상키야철학은 지식을 토대로 해탈을 추구하는 반면에, 요가는 수행을 통해 해탈을 추구한다. 마찬가지로 도교는 도가철학에 자신의 철학적 이론을 빚지고 있다. 그러나 윤리학 체계와 관련해서는 요가와 마찬가지로 도교는 신선이 되어 불로장생에 도달하고자 하기 때문에, 신선이 되기 위한 수행에 중점을 두고 자신의 윤리학 체계를 수립하고있다. 이러한 요가와 도교의 윤리학 체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요가는 궁극적으로 해탈에 도달하기 위해 8단계의 수행원리를 제시하고 있고, 그 중에서 첫 두 단계인 금계와 권계가 요가의 윤리학 체계와 관련이 있다. 도교는 『포박자 내편』에 윤리학과 관련한 기술이 있으며, 이것은 ‘개인, 타인, 자연에 대한 윤리적 태도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요가수행의 제1단계인 금계를 불상해, 진실, 불투도, 금욕, 무소유이며, 도교에도 이에 상응하는 유사 내용이 『포박자 내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요가수행의 금계는 종성, 장소, 시간, 관습, 그리고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불상해라는 다섯 금계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교에서도 요가의 종성, 장소, 시간, 관습과 관련한 불상해의 내용이 있다. 요가의 다섯 금계는 불상해와 관련된 것으로써, 도교의 생명중시의 윤리와그 내용을 함께 한다고 볼 수 있다. 요가의 권계는 긍정적 의미의 윤리적 행위로서, 청정, 만족, 고행, 자기학습(성전공부), 그리고 신에 대한 헌신을 그 내용한다. 이와 상응하는 의미의 내용을 도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요가는 해탈하기 위해 최고의 스승들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하고있으며, 도교도 현명한 스승을 만나서, 그 법을 얻어야 득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요가와 도교는 각각 해탈과 득도를 위해 스승의존재를 필요로 한다고 하겠다.


The ethical systems of Yoga and Taoism are set up with the goal of liberation and eternal youth, respectively. Yoga has its own philosophical system based on the philosophy of Samkhya, but Samkhya philosophy pursues liberation based on knowledge, whereas yoga pursues liberation through practice. Similarly, Taoism owes its philosophical theories to Taoist philosophy. However, in relation to the ethical system, Taoism, like yoga, seeks to attain immortality by becoming a Taoist hermit, so it establishes its own ethical system with an emphasis on the practice to become a Taoist hermit. The comparison of the ethical system of yoga and Taoism is as follows. Yoga presents eight stages of practice principles to ultimately reach liberation, and among them, the first two stages, prohibition and admonish, are related to the ethical system of yoga. Taoism has a description related to ethics in ‘inner articles of the pobakja(抱朴子 內篇)’, and this content has ethical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others, and nature. The first stage of yoga practice is noninjury, truth, nonstealing, abstinence, nonpossession, and simila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is in Taoism are also described in 『inner articles of the pobakja(抱朴子 內篇)』. In addition, the prohibition of yoga practice consists of caste, place, time, customs, and noninjury, which are not limited to these. Likewise, in Taoism, there is the content of noninjury related to caste, place, time, and customs of yoga. The five prohibitions of yoga are related to noninjury, and it can be seen that they share the same content with Taoism’s ethics of valuing life. The admonish of yoga is an ethical act in a positive sense, which includes purity, contentment, asceticism, self-study(studying the scriptures), and devotion to God. Corresponding meaning can also be found in Taoism. Yoga says that you need the help of the best masters to achieve liberation, and Taoism claims that you can only attain enlightenment by meeting a wise master and attaining the Tao.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yoga and Taoism each require the existence of a master for liberation and attaining the T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