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상담자의 사회정의 옹호 역량, 외현적 성 고정관념, 암묵적 성 고정관념이 미묘한성차별을 경험한 내담자의 호소 문제에 대한 귀인과 어떠한 관련을 맺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위해 173명의 상담자 표본을 대상으로 미묘한 성차별 경험 후에 심리적 어려움 겪고 있는 가상의 내담자 사례를 제시한 후 사회정의 옹호 역량, 외현적 성 고정관념, 암묵적 성 고정관념과호소 문제에 대한 귀인방식을 조사했다.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세 가지 귀인방식에 대해 각각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외현적 성 고정관념이 호소 문제의 원인에대한 내재적 귀인을 유의하게 예측했다. 또한 암묵적 성 고정관념과 사회정의 옹호 역량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내재적 원인 소재 귀인에 대해 암묵적 성 고정관념과 상담자 사회참여가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으며, 내적 통제 소재 귀인에 대해서는 암묵적 성 고정관념과 상담자 사회참여, 암묵적 성 고정관념과 내담자 역량강화가 각각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후속 연구 방향을 제언했다.


We investigate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unselor’s competence in social justice advocacy and explicit and implicit gender stereotype relate to attributions for a client’s problem in a case involving gender microaggress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73 Counselors, who were presented with a hypothetical scenario of a client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following a gender microaggression incident. We measured the variables of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explicit and implicit gender stereotypes, and attributions for the client’s problem.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o predict each attribution style. Explicit gender stereotypes positively predicted internal attributions of causality, while the interaction effects of implicit gender stereotypes and advocacy competences were significant. Implicit gender stereotype×social participation of counselors predicted locus of causality; implicit gender stereotype×empowering clients and implicit gender stereotype×social participation of counselors predicted internal controllabilit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