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operating a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ase of a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ject that applied the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and to suggest future tasks for sustainable operation by collecting participants' opinions. Methods/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is study, we looked at the planning project procedures and operational cas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pplied with the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conducted by the Gongju Culture and Tourism Foundation. In addition,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 Focus Group Interview (FGI) for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lanning project of the Gongju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Center. Findings: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local cultural education programs, "Write My Short Story" applied an experimental program as part of a pilot process for a professional training course, and "Creative Studio" aim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itizens to enjoy culture and arts in their daily lives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cultural education. This was reflected by collecting and reflecting the opinions of residents from the development stage and carried out the procedures and processes of the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Of course, there are things that need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terms of tasks, and it is possible to form a virtuous cycle of structures that are accepted for change and development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again. In the task dimension of the cultural arts education planning project, the process of planning, operating, and executing the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 and the opinions of participants on the changes they hope to see in the program, reveal the desire to develop experiential programs and the need to seek changes for the low participation rate.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experiences and educational enrichment using local resources as a region-specific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 and to establish clear guidelines so that participants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purpose of the program.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network among artists for collaboration and exchange in order to form a cultural community.


배경/목표: 본 연구는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적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시행사업의 사례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과정을 살펴보고 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분석: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적용한 공주문화관광재단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사업 절차와 운영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기획사업 참여자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법(Focus Group Interview:FGI)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론: 지역형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측면에서 “나의 단편소설쓰기”의 경우 전문가 배출과정을 위한 파일럿과정의 일환으로 실험적 프로그램을적용하였고 “창작의 산실”은 일상적인 삶 속에서시민들의 문화예술향유의 기회 제공과 능동적인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의 목적을 두었다. 이는 개발단계에서부터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한 것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절차와 과정을 수행하였다. 물론 과제차원에서 수정 보완되어져야 할 사항이 있으며 이는 다시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변화발전을 위해 수용되는선순환적인 구조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문화예술교육기획사업의 과제 차원에서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 실행하는 과정, 그리고 참여자가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변화 발전되기를 희망하는 의견을 살펴보면 체험형 프로그램 전개 희망과 저조한참여율에 대한 변화 모색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지역 특화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지역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체험과 교육적 함양을 제공하고참여자가 교육프로그램의 취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있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문화예술 커뮤니티 형성이라는 차원에서 협업과교류를 위해 예술가들 간의 네트워크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