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 S. 엘리엇(Thomas Stearns Eliot)의 시학과 철학의 바탕에 F. H. 브래들리(Francis Herbert Bradley)의 인식론이 위치해 있다는 사실은 많은 국내외의 연구자들에 의해 이미 밝혀진 바 있다. 모더니즘(Modernism) 시학의 또 다른 중요한 축을 담당했던 월러스 스티븐스(Wallace Stevens)도 실재와 현상에 대한 자신만의 독특한 철학을 「최상의 허구를 위한 소고」(“Notes Toward a Supreme Fiction”)에서 제시한 바 있다. 궁극적 실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인간은 “최상의 허구”라는 개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엘리엇이 시학적 혹은 철학적 개념으로 사용했던 브래들리 철학의 “유한한 중심”(finite center) 그리고 월러스 스티븐스가 제안한 “최상의 허구”라는 개념이 현상과 실재를 파악하고, 그리고 그러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각자의 시학적 체계를 구성하는데 어떤 역할을 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엘리엇이 차용한 브래들리의 “유한중심론”이 얼마나 “최상의 허구” 관념과 닮아 있는지를 살펴보고, 두 시인이 사용한 개념이 현대 지식사회학(Sociology of Knowledge)적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It is widely known that T. S. Eliot’s poetics and philosophy are grounded on the epistemology of F. H. Bradley. Wallace Stevens, who played another significant role in the modernist poetics during a similar period, presented his unique philosophy on reality and phenomena in “Notes Toward a Supreme Fiction.” According to Stevens, humans inevitably need the concept of the “supreme fiction” to grasp realit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oles played by Bradley’s concept of the “finite center,” which Eliot employed as a poetic or philosophical concept, and Stevens’ concept of the “supreme fiction” in understanding phenomena and reality, and how these conceptions formed the basis of their respective poetic systems. In the process of such comparative analysis, we will explore how closely Eliot’s adoption of Bradley’s “finite center” aligns with the concept of the “supreme fiction”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se two concepts used by the two poets in terms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