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ㅡ/와 /ㅣ/의 발음 오류 양상 및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발음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교육적 제언을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몽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발화 산출 실험을 진행하여 /ㅡ/와 /ㅣ/의 발음 오류 특징을 확인하였다. 먼저 /ㅡ/의 발음은 선행 자음의 조음 방법에 영향을 받았는데 마찰음이 선행할 때 오류율이 낮았고 탄설음이 선행할 때 오류율이 높았다. 또한 단어의 형태소 유형도 /ㅡ/ 발음에 영향을 주었는데 어휘형태소로 실현되었을 때의 발음 오류율이 문법형태소로 실현되었 때의 발음 오류율보다 높았다. 다음으로 /ㅣ/의 발음은 선행 자음의 조음 위치에 영향을 받았는데 연구개음이 선행할 때 발음 오류가 많았고 선행 자음의 조음 위치가 연구개에서 멀어질수록 발음 오류율이 낮았다. 더불어 /ㅣ/의 음절 위치도 발음 오류율에 영향을 미쳤는데 비어두 위치보다 어두 위치의 발음 오류가 더 많았다. /ㅡ/와 /ㅣ/의 발음 오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ㅡ/와 /ㅣ/의 교육에서는 모음 교육 이후 반드시 자음 학습과 연계한 발음 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언하였다. 아울러 /ㅡ/, /ㅣ/ 발음 교육 시 음운론적 조건과 형태론적 조건을 고려한 다양한 발음 교육 자료를 구성하여 교수⋅학습할 것은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ronunciation errors of /ㅡ/ and /ㅣ/ of Mongolian Korean learners and to make educated suggestions. To this end, a pronunci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Mongolian learners, and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pronunciation errors of /ㅡ/ and /ㅣ/ were found. First, consonants preceding /ㅡ/ and /ㅣ/ affected both vowels,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at the articulation method of the preceding consonant affected /ㅡ/, and the articulation position affected /ㅣ/. In other words, if the pronunciation preceded the liquid sound, there were many pronunciation errors of /ㅡ/, and If the pronunciation error rate preceded the soft palate sound, pronunciation errors of /ㅣ/ increased. Second, the morphological factor of the word affected /ㅡ/ and the phonological factor affected /ㅣ/. In words containing /ㅡ/, the morpheme type affected pronunciation, and in words containing /ㅣ/, the syllable position affected /ㅣ/. In words containing /ㅡ/, the morpheme type affected pronunciation, while in words containing /ㅣ/, the syllable position affected pronunciation. Therefore, /ㅡ/ and /ㅣ/ pronunciation learning must be taught in connection with consonant learning in order to decrease pronunciation errors. At this time, the teach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consonants where errors occur frequently. It was suggested that when teachers make materials involving /ㅡ/ and /ㅣ/, teachers should consider both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factors to help students clearly differentiate the two vowel s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