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유아의 성취동기,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K도에 위치한 유치원 5곳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222명으로 평균 월령은 58.87개월이었다. 성취동기 검사, 인지능력 검사(K-WIPPSI-Ⅳ), 갈등해결능력 검사, 공감능력 검사(Affective Situation Test)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유아의 공감능력과 성취동기,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인지능력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갈등해결능력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하위요인 간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인지능력의 언어이해가 유아의 공감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그 다음으로 인지능력의 처리속도와 갈등해결능력의 갈등해결이 추가적인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성취동기의 흥미⋅즐거움이 유아의 공감능력을 설명하는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공감능력에 대한 이론적 정보를 구축하고 나아가 유아의 공감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방안 모색 및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고 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cognitive ability,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empathy ability of young childre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2 whose mean age was 58.87 month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Children’s achievement ability test’, ‘K-WIPPSI-Ⅳ’,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ability test’, and ‘Affective situation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cognitive ability,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empathy ability. Second, cognitive ability was revealed to be most predictive factor of empathy ability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y was an additional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empathy 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ieved to have provid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building theoretical information on young children's empathy and further finding educational measures to promote young chileren's empathy and develop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