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애착과 놀이성, 대인관계 유능성을 중심으로 행복감과의 관계를 파악해보고 이들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H대학과 S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54부를 대상으로 평균, 표준편차, Pearson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성인애착, 놀이성, 대인관계 유능성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인애착 중 불안-애착의 하위요인만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애착, 놀이성, 대인관계 유능성은 행복감을 의미 있는 수준으로 예측하였다. 특히 놀이성 하위요인 중 재미 추구 동기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성인애착 하위요인 중 의존-애착, 대인관계 유능성 하위요인 중 관계형성 및 개시, 놀이성 하위요인 중 비억제성 순으로 행복감에 대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성인애착과 놀이성, 대인관계 유능성에 관심을 갖고 이를 발달시키기 위한 노력과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playfuln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happiness, and to find out their effec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H University and S University,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rat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happiness, adult attachment, playfuln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ly the sub-factors of anxiety-attachment were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the adult attachment, playfuln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predicted happiness at a meaningful level. Among the playfulness sub-factors, the motivation for pursuing fu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dependence-attachment among adult attachment sub-factors, relationship formation, and initiation among interpersonal competence sub-factors, and non-inhibition among playfulness sub-fact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adult attachment, playfuln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order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