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모성’은 여성과는 분리될 수 없는 여성의 특질 중 하나이다. 그러나 ‘모성’이라는 용어는 가부장제적 사고에의해 여성을 억압하는 기제로서 작용해 왔다. 모성을 가진 여성은 가정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여겨지고 이로인해 그 개체성을 손상당한다. 김남조 시의 모성은 그것이 내재하고 있는 가부장주의적 사고의 위험성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시적 상상력을 전개시킨다. 김남조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모성’에 대한 상상력은 그의 시적 상상력의 일면을 드러낸다. 김남조 시에서의 ‘어머니’는 모성의 주체이자 스스로 그 모성의 대상이다. 김남조 시의 ‘어머니’에게 있어 자녀와 어머니 스스로는 모성의 대상이라는 점에서 동등하다. 이러한 동등한 관계를 통해 어머니와 자녀는 서로돕고 보살피며 길을 걷는 ‘동행자’의 관계를 형성한다. ‘동행자’ 관계는 김남조 시에서 ‘모성’을 통해 ‘모든 존재’ 간의 관계로 확장된다. 김남조 시의 ‘모성’은 타인을 사랑하는 마음을 태어나게 하는 것이다. 이는 ‘모성’의 기반이 되는 육체적 잉태와 해산에서 더 나아간 정신적인 잉태와 해산, ‘정신적 창조’이다. 김남조 시의 모성 예찬이 가부장제적 사고를 정당화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은 충분히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김남조는 이러한 위험성을 ‘모성’의 대상과 주체를 확장시켜 그 의미를 재정의함으로써 그러한 위험성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Motherhood is one of the qualities of a woman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her. However, the term ‘motherhood’ has served as a mechanism for suppressing women by patriarchal thinking. Women with motherhood are considered as a means of assisting the family, which undermines their individuality. Kim Nam-jo’s motherhood develops poetic imagination in the direction of overcoming the dangers of patriarchal thinking that it contains. This imagination of ‘motherhood’ in Kim’s poetry reveals one side of her poetic imagination. In the poetry of Kim, ‘mother’ is the subject of motherhood and the object of motherhood. For “the mother” in Kim’s poetry, the child and the mother themselves are equal in that they are objects of motherhood. Through this equal relationship, mothers and children form a relationship of “companion” where they help and care for each other and walk on the road. This partnership expan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beings’ through ‘motherhood’ in Kim’s poetry. Kim’s ‘motherhood’ is to give birth to a heart that loves others. This is ‘mental conception and childbirth’, which has gone further from physical conception and childbirth, which are the basis of ‘motherhood’. It has been fully pointed out that Kim’s maternal praise implies the risk of justifying patriarchal thinking. However, Kim tries to escape this danger by expanding the object and subject of “motherhood” and redefining its mea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