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가족건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서울 지역에소재한 2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 5, 6학년 학생 240명(여학생 120명, 남학생 120 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변인별로 합산,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연구 변수 간 이변량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PROCESS Macro의 모델 4를 사용하여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부트스트랩핑을 실시하여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가족건강성을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우울수준이 감소하였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을 때우울 수준이 감소하였다. 셋째,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경로가 유의하였다. 즉 아동이 인식한 가족건강성 수준이 높아질 때 아동의 자아존중감수준이 높아지며 높은 자아존중감이 낮은 수준의 우울로 이어지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가족건강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매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아동의 우울 수준을 경감하고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 가족체계의 건강성을 높이기 위한 개입이 중요하며 이러한 개입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여 우울 수준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strength on depression among upper-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depression. Methods: Data from 240 students (120 female, 120 male) in grades 4, 5, and 6 attending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sum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presented for each variable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ed variables.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estimated to explore the bivari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Additionally, the PROCESS macro model 4 was employed to test whether family strength influenced depression through self-esteem. Bootstrap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as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erceived family strength more positively, their levels of depression decreased. Second, when the level of self-esteem of children was high, the level of depression decreased. Third, the mediating pathway of family strength influencing depression through self-estee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at is, higher levels of perceived family strength were related to higher levels of self-esteem in children, which in turn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depression.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discovering that children's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depression. This resul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s that enhance the strength of family systems to reduce and prevent depression in children. It also implies that such interventions can increase children's self-esteem, thus decreasing their levels of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