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어가 고립어 혹은 분석적 언어라는 사실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본 연구는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중국어가 통사적으로 분석성(analyticity, 分析性)을 가짐을 논증한다. 또한 중국어의 분석성 현상과 이에 대한 최소주의 생성문법의 설명이 비단 현대 중국어뿐 아니라 고대 중국어, 중국어 방언 및 통시적 변천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론의 5장에서 저자는 현대 중국어 명사 및 동사의 논항구조가 갖는 분석성을 제시한다. 현대 중국어 특유의 형용사의 어휘-하부 수식, 결과 구문의 직접 목적어 요구(DOR) 위반, 비능격 동사의 비대격 용법, 주어/목적어의 비선택제약성은 논항구조가 갖는 분석성의 산물이다. 6장에서 저자는 고대 중국어 통사부가 현대 중국어와는 대조되는 종합성을 갖고 있음을 보인다. 경동사가 필요 없는 명사파생 동사, 진정한 포합, 단순 사동문을 통한 완수의미 실현, 수량 분류사가 필요 없는 가산명사, 방위사가 필요 없는 처소자격 명사는 어휘 층위에서 발견되는 종합성이다. 그리고 의문사 목적어 전치, 관계대명사 所+동사의 목적어 선행, 为/唯 초점구 전치, 대조화제 전치, 부정 영역 내 대명사 목적어 접어화, 동사 후속 절 부가어, 표준 공백현상은 절 층위에서 발견되는 종합성이다. 저자는 중국어의 어휘범주핵 및 기능 범주핵(F0)이 이동의 촉발성 자질([+강] 혹은 [+EPP])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고대 중국어의 종합성을 설명한다. 이로 볼 때, 중국어의 통사부는 거시적으로 ‘종합성(B.C.500-A.D.200)→분석성(-A.D.1000)→온건한 종합성’의 변천을 겪어왔다. 현대 중국어의 다양한 방언들에서 공시적으로 나타나는 차이는 온건한 종합성의 정도 차이이다. 7장에서 저자는 현대의 표준중국어, 광둥어, 타이완 민남어를 대조하며 이를 분석성의 차이로 설명한다. 이들 방언들은 원형 분류사구의 분포, 동사-목적어 어순, 到-처소-去와 去-처소 중의 선택, 사동 포합, 상 접미사의 분포에서 차이를 보인다. 타이완 민남어, 표준중국어, 광둥어 순으로 분석성이 강하다고 할 때, 이와 같은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세 방언의 분석성의 차이는 또한 이들 방언의 영(null) 수사, 동사핵, 사동 경동사, 상 접미사가 이동 혹은 일치에서 촉발 혹은 비촉발 자질을 갖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8장에서는 중국어의 분석성에 대한 본론의 논의를 요약한다. 그리고 중국어의 유형론적 특징을 분석적―종합적과 같은 대형 매개변인보다 이동, 일치의 촉발―비촉발과 같은 소형 매개변인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 타당함을 주장한다. 소형 매개변인으로부터 대형 매개변인을 도출하는 기제를 다루는 최근의 연구를 소개하며 논의를 마무리한다.


This paper shows that Chinese has syntactic analyticity in language typology perspective. The syntactic analyticity is observed in Old Chinese, Modern Chinese Dialect as well as Modern Mandarin Chinese, and also can be explained by the minimalistic analysis of Generative Grammar. In Chapter 5, I present the analy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gument structures of nouns and verbs in Modern Chinese(MnC). The sub-lexical modification of adjectives, Direct Object Requirement violation of the resultative constructions, obvious unaccusative use of unergative verbs, and unselectiveness of both subject and object are products of the analyticity of argument structures in MnC. In Chapter 6, I show that the Old Chinese(OC) syntax has synthesis that contrasts with MnC. Denominal verbs that do not require light verbs, true incoporation, realization of achievement meaning through simplex causatives, countable nouns that do not require numeral classifiers and nouns qua locations that do not require localizers reveal synthesis at the lexical level. And wh-object fronting, relative pronoun Suo+verb preposition, Wei/Wei focus phrase preposition, contrastive topic preposition, pronominal object cliticization in the domain of negation, postverval clausal adjuncts and canonical gapping reveal synthesis at the clausal level. I explain the synthesis of OC as the lexical category head and functional category head(F⁰) of OC have the triggering qualities of movement ([+strong] or [+EPP]). From this point of view, Chinese syntax has undergone a macroscopic change in “synthesis(B.C.500-A.D.200) → analyticity(-A.D.1000) → mild synthesis.” The synchronic variation in the various dialects of modern Chinese may be characterize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oderate synthesis. In Chapter 7, I contrast Modern Mandarin Chinese, Cantonese and Taiwanese Southern Min(TSM) and explains them as differences in relative analyticity. These dialects differ in the distribution of bare classifier phrases, verb-object word order, choice between Dao-locative-Qu and Qu-locative, causative incopor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aspectual suffixes. Given that it is highly analytic in the order of “Catnonese > Modern Mandarin > TSM”, this difference can be explained. Furthermor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null numeral, verbal head, causative light verb and aspectual suffix differ in triggering features([±strong]) in movement and agreement among the dialects. Chapter 8 summarizes the body's discussion on the analyticity in Chinese. In addition, I argues that it is reasonable to explain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micro-parameters such as triggering of movement/agreement rather than macro-parameters such as analyticity- synthesis. I finish my discussion by introducing a recent study dealing with the mechanism of deriving macro-parameters from micro-parame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