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가 의도한 목표 중 하나인 역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잠재프로파일 전이 양상을 파악하여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확인하고 여기에 핵심역량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KELS 2013) 4차(중2), 5차(중3)을 대상으로 잠재전이분석(LTA)과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2와 중3 시점 학생의 잠재프로파일은 학업성취도에 따라 세 계층(저수준, 중수준, 고수준)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이 양상은 동일 수준 유지(79.1%), 높은 수준으로 상향(19.1%), 낮은 수준으로 하향(1.8%)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 상향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역량 요인을 탐색한 결과,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정적 효과, 창의성역량의 부적 효과, 자기관리역량의 정적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가 학업성취도의 저하 요인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과 역량 계발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밝히며, 이를 기반으로 중학교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competencies, which is the one of the intended result of Free Semester Program(FSP),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produces latent transition patter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SP and explore the impact of core competencies on those transition patterns. Latent transition analysis(LTA)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4th and 5th period data of KELS 2013. It revealed that students a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by academic achievement(Low-level, Intermediate-level, High-level), for both of the periods. The transition appeared in three types: maintaining same level(79.1%), ascending to a high level(19.1%), and descending to a low level(1.8%). Further analysis is conducted to elaborate on how the core competency factors affect the ascending transition, and it is revealed that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gives positive effect, creativity competency negative,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positive effect on the transition probability.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FSP is not a negative factor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rather competencies may gi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hievements.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gives some implications on middle schoo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