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산냐사(saṃnyāsa, 포기)’는 사회적, 제의적 의무를 포기하고 고행의 라이프스타일을 채택한 채 해탈을 위한 지식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바가바드 기따(Bhagavad-gītā, 이하 BG)』는 이러한 ‘산냐사’를 재정의함으로써 행위주의(재가주의, 의례주의)와 수도주의(출가주의, 고행주의)를 조화하는 새로운 장을 마련한다. BG의 ‘산냐사’는 모든 행위를 포기하는 육체적인 외적 포기가 아니라 행위결과나 그것을 향한 집착과 욕망을 포기하는 심리적인 ‘내적 포기’이다. 이러한 내적 포기는 내적인 덕목을 구비하여 탈행위의 완성을 이루고자 하는 영구적인 포기이자 진정한 포기이다. 내적 포기는 ‘포기가 부재하던 행위주의의 길’과 ‘외적 포기를 지향하던 수도주의의 길’ 사이에서 수도적 행위주의를 추구하는 ‘제3의 길’이라고 부를 만하다. 행위를 통해 행위의 분리를 추구하는 내적 포기가 ‘라이프스타일’과 ‘해탈’ 사이의 또는 ‘삶의 방식’과 ‘삶의 목표’ 사이의 불일치를 초래한다고 우려할 필요는 없다. BG에서는 ‘완성(성공)’, ‘즐거움’, ‘평온’과 같은 용어의 양가적 의미를 통해 해탈을 현실화하는 전략을 구사하기 때문이고, BG에서 제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이 애당초 단일한 형태가 아니라 혼합된 형태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BG는 내적 포기 그 자체인 ‘요가를 통한 감각기관과 마음의 제어’를 지속해서 강조하는데, 혼합된 라이프스타일에서도 중심축을 이루는 이러한 ‘제어의 라이프스타일’은 내면의 힘과 내적인 변화라는 그 보편성을 통해 삶의 방식과 삶의 목표 사이의 경계를 단숨에 희석하기 때문이다.


The term ‘saṃnyāsa’ means the renunciation of social obligations and ritual duties with the adoption of an ascetic lifestyle in pursuit of knowledge for Liberation. However, Bhagavad-gītā (hereafter BG) redefines this ‘saṃnyāsa’ and prepares a new chapter to harmonize activism (ritualism, the principle of householder) and monasticism (asceticism, the principle of wandering mendicants). ‘saṃnyāsa’ of BG is not a physical outer renunciation that abandons all actions, but a psychological ‘inner renunciation’ that abandons the results of actions or attachments and desires toward them. This inner renunciation is a permanent renunciation and a true renunciation to achieve the perfection consisting in the state of one free from action by being equipped with inner virtues. Inner renunciation deserves to be called ‘the third way’ pursuing monastic activism between ‘the way of activism in which renunciation was absent’ and ‘the way of monasticism oriented towards outer renunciation’. There is no need to worry that inner renunciation, which seeks the separation of action through action, results in a discrepancy between ‘lifestyle’ and ‘Liberation’ or between ‘the way of life’ and ‘the goal of life’. It is because BG employs a strategy to actualize Liberation through the ambivalent meaning of terms such as ‘success’ (siddhi), ‘pleasure’ (sukha), and ‘calmness’ (śānti). It is also because the lifestyle presented by BG is not a single form in the first place, but a mixed form. Furthermore, as far as BG emphasizes continuously the control of the sense organs and the mind through yoga, which is inner renunciation itself, it is also because this ‘lifestyle through control’, which forms the central axis in mixed lifestyles, instantly dilutes the boundaries between the way of life and the goal of life through its universality of inner strength and inner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