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오에 겐자부로 소설 속에 두드러지는 지방과 도시 표상을 분석하여 이것이 단순히 지방출신 상경자가 느끼는 수평적 이동에 따른 경험의 보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 특유의 천황제를 정점으로 하는 일본의 수직적 계급 인식이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오에의 소설 속에는 에히메현 산골 마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대학 입학과 동시에 도쿄로 삶의 터전을 옮긴 작가 자신의 원체험을 바탕으로 한 지방과 도시의 묘사가 빈번하게 등장한다. 이러한 지방과 도시 표상이 단순한 작가의 어린 시절의 체험, 도시의 경험의 반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인이란 무엇인가’라고 하는 일본인의 정체성에 대한 작가의 통찰과 고뇌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인의 정체성을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이 천황과 천황제이다. 전쟁 책임을 청산하지 못한 채 ‘상징’으로 남아 있는 천황의 존재는 무엇이라 규정할 수 없는 ‘애매한’ 실체이며, 오에의 작품 속에 보이는 지방과 도시의 이항대립적 표상은 그러한 ‘천황’이라는 정점 아래 구축된 수직적이고 단일화된 ‘일본’, 단일 언어, 단일 민족이라는 이미지에 균열을 일으키고자 하는 시도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presentation of the country and city in Oe Kenzaburo’s novel. The purpose of this is to reveal that this is not simply a horizontal movement of country people, but is deeply related to Oe’s unique perception of Japan’s hierarchy, centered on the emperor system. Oe’s novels frequently feature descriptions of the country and city based on the author’s original experience, who spent his childhood in the mountain village of Ehime and moved to Tokyo when he entered university. These representations of country and city seem to reflect the writer’s insight into the identity of the Japanese, rather than merely reflecting his childhood experiences and urban experiences. The emperor and the emperor system are indispensable when discussing the identity of Japanese people. The existence of the emperor, who remains as a ‘symbol’ without clearing up his responsibility for the war, is an ‘ambiguous’ existence. The binomial representation of country and city in Oe’s works is an attempt to break up the image of a vertical and unified Japan, a single language, and a single ethnicity built under the apex of the Emperor.


本研究は、大江健三郎の小説における地方と都市の表象を分析し、これが単に地方出身の上京者が感じる水平的な移動による経験の報告にとどまらず、作家特有の天皇制を頂点とする日本の垂直的な階級認識が深く関わっていること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 大江の小説の中には、愛媛県の山村で幼少期を過ごし、大学入学と同時に東京に生活の場を移した作家自身の原体験に基づく、地方と都市の描写が頻繁に登場する。このような地方と都市の表象は、単なる作家の幼少期の体験、都市の経験の反映にとどまらず、「日本人とは何か」という日本人のアイデンティティに対する作家の洞察と苦悩が反映されていると思われる。日本人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語る上で欠かせないのが、天皇と天皇制である。戦争責任を清算できずに「象徴」として残っている天皇の存在は、何とも言えない「曖昧な」ものであり、大江の作品の中に見られる地方と都市の二項対立的な表象は、このような「天皇」という頂点の下に構築された垂直的で単一化された「日本」、単一言語、単一民族というイメージに亀裂を生じさせようとする試みで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