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중⋅고등학교 중단 과정과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서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구체적인측면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내실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학습자 특성별 맞춤형 학습지원을 마련하고자 함이다. 방법 본 연구참여자는 정규교육과정을 자퇴하고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이용 경험이 1년 이상이 지난 학교 밖 청소년 7명을 선정하여 연구참여자에 따라 2회에서 3회까지, 1회당 1시간에서 1시간 30분씩 심층 면담을 통해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기술하고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총 126개의 개념, 34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흔들리는 학교생활’, ‘부딪혀야 할 것들’, ‘안전한 울타리 꿈드림 입성’, ‘꿈드림 상담 지원 프로그램의 경험’, ‘꿈드림 참여 활동 지원프로그램의 경험, ‘꿈드림 교육 지원 프로그램의 경험’, ‘꿈드림 직업 지원 프로그램의 경험’, ‘꿈드림 자립 지원 프로그램의 경험’, ‘꿈드림 건강 지원 프로그램의 경험’, ‘꿈드림에서 나의 꿈 도전하기’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 중단 청소년의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이 학업복귀와 진로 탐색에 도움을 얻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효성 있는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fic aspects of out-of-school youth's process of dropping out of middle and high school and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rograms at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s. This is to provide customized learning support for each learner's characteristics by supporting substantial programs for out-of-school youth.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selected 7 out-of-school youths who dropped out of the regular curriculum and had more than 1 year of experience using an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2 to 3 times depending on the research participant, 1 hour to 1 hour 30 times per time.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overall context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sults A total of 126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ere derived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Shaking school life’, ‘Things to bump into’, ‘Entering the safe fence of Dream Dream’, ‘Experience of Dream Dream Counseling Support Program’, ‘Experience of Dream Dream Participation Activity Support Program’, ‘Experience of Dream Dream Education Support Program’, ‘Experience of Dream Dream job support program’, ‘Experience of Dream Dream self-reliance support program’, ‘Experience of Dream Dream health support program’, and ‘Challenging my dream in Dream Dream’ appeared. Conclus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programs for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Through this, it was emphasized that effect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by developing a program that can help out-of-school youth return to school and search for a career p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