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글은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반외세’라는 성격 규정이 가지는 현재성에 대해 되짚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동학경전의 ‘반외세’ 관련 내용, 그리고 동학농민군이 일본이나 중국, 서양이나 서교에 대해 보인 태도나 인식을 꼼꼼히 살펴보았다. 동학농민군은 통상 자체를 반대한 것이 아니라 개항장 밖에서 몰래 이루어지는 상행위를 반대하고 있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서양인 신부나 선교사에 대해서도 다른 나라의 민중운동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것과 같은 적대감이나 공격적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일부 공격이 있었다 하더라도 이것을 ‘외세’ 혹은 ‘외국인’ 일반에 대한 적대나 혐오로 해석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생각한다. 이점에서 동학농민군들의 대외인식은, 서양과 일본을 이적시하거나 그들과의 통상자체를 거부하고, 서양 종교에 대해서도 오랑캐의 사악한 술수로 이해하고 배척한 유생 지식인들의 화이론적 대외관이과는 크게 달랐다.


This article is a review of the present nature of the character regulation of "anti-foreign power" on the Donghak Peasant War. To this end, we first carefully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Donghak Sutra's "anti-foreign power" and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toward Japan, China, the West, or Western religion. The Donghak Peasant Army did not oppose trade itself, but opposed commercial activities secretly performed outside the port. However, the Donghak Peasant Army did not show the same hostility or aggressive behavior toward Western Catholic Priests or missionaries as is commonly seen in popular movements in other countries. Even if there have been some attacks, I think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is as hostility or hatred toward the "foreign power" or "foreigners" general. In this regard, the Donghak Peasant Army's external perception was very different from the external perception of the West as barbaric by Confucian intellectuals who perceived and rejected Western religion as an evil trick of barbar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