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서울굿에서의 말명 신격은 산 자를 위한 재수굿, 망자를 위한 천도굿 모두에서 다양하게 등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 말명 신격은 여성, 그리고 조상과 관련한 하위 신격 정도로만 규정되고 그 기능과 특성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본고는 재수굿인 만신의 진적굿과 천금새남 안당사경치기, 천도굿인 천금새남 진오기굿과 진진오기굿 등 서울굿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드러낼 수 있는 주요 굿을 대상으로, 말명 신격의 연행 양상을 살피고 말명이 다른 신격과 결합하는 구조와 무가의 사설을 분석하여 서울굿의 말명 신격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같은 논의를 통해 살펴본 말명신격의 특징은 첫째, 전반적으로 여성이라는 성별적 특징이 부각된다. 재수굿에서는 부인과 호구와 같은 여성신격과 함께 등장하고, 천도굿에서는 말명관주라 하여 여성이 결혼할 때 함께 이전하는 조상신앙의 형태로 등장하는 것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개 공간과 관련한 신격을 모시는 거리에서 하위 신격으로 나타난다. 천궁불사거리, 산신도당거리, 마당을 매개로 한 뒷전거리는 물론이고, 조상과 관련한 근원의 공간인 본향과 시왕부터 사재삼성이 머무는 망자의 공간인 저승이라는 추상적인 공간에서 등장한다. 셋째, 대신과 사재라는 소통의 기능을 수행하는 신격과 결합하여 이들을 조력한다. 두 신격은 모두 위계로는 그다지 높지 않은 하위의 신격이지만, 인간을 굿이라는 의례의 최종 목적지인 굿판과 저승이라는 공간으로 인도하고 재가집과 소통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말명 신격은 ‘이동’이라는 속성을 잠재적으로 갖고 있으며 추상적인 공간이나 신격이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공간이나 신격으로 변환되는 지점에 등장하여 대신과 사재의 역할 수행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말명 신격의 세 번째 특징을 근간으로 말명 신격은 한국 무속신앙의 본령이라고도 할 수 있는 조상숭배신앙과 긴밀하게 연결되며, 무속신앙의 정체성을 단적으로 드러낸다는 의의를 도출할 수 있다. 조상숭배 신앙의 한 형태로 말명 신격이 갖는 의의는 첫째, 산 자와 죽은 자를 연결하는 무속신앙의 본질을 드러낸다. 이는 재수굿에서는 ‘본향-가망-말명-대신’이라는 구성으로, 천도굿에서는 ‘시왕-중디-말명-사재삼성’의 구성을 통해 구체화된다. 둘째, 말명 신격은 다른 신격과 결합하여 조상과 가족의 의미를 확장한다. 말명은 굿을 통해 모셔지는 신격이면서 동시에 인간이 죽은 넋이기도 하다. 이들은 본향거리와 조상거리를 중심으로 등장하는데, 한편으로는 하위신격인 뒷전거리의 잡귀잡신과 결합하기를 주저하지 않으며, 이때 ‘가족-조상’이라는 형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망자가 된 가족들을 촌수의 위계와 무관하게 두루 말명으로 포괄한다. 때로 말명 신격은 혈연과 혼인으로 구성되지 않았어도 무업을 함께 수행했던 선대의 만신 외에도 악사, 시봉자, 학자 등 무업의 주변부의 인물을 가족으로 간주하여 본향거리, 조상거리, 뒷전거리에 결합시킨다. 신직의 학습과 계승을 ‘신어머니’와 ‘신딸’이라는 가족의 관계로 규정하는 무속신앙의 특징이 말명 신격을 통해 구현됨을 알 수 있다. 서울굿은 죽음 앞에 속절없는 인간의 약한 면모와, 비천한 직업으로 천대받았던 사회적 약자인 무업종사자를 말명 신격으로 드러내고, 이들을 ‘가족-조상’이라는 가장 끈끈하고 강렬한 공동체의 형태로 연대한다. 이는 무속신앙과 사제자인 무당이 갖는 정체성이자 본질이며, 약자에 대한 배제와 혐오가 만연한 오늘날을 돌아볼 수 있는 유효한 가치이다.


The Malmyeong deity in Seoulgut appears in various ways as a subordinate deity on most 'geori', regardless of the distinction between Jaesuegut for the living and Cheondogut for the dead. Nevertheless, until now, the Malmyeong has only been defined as a lower level related to ancestors related to women, and its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eoulgut by examining the performance patterns of the Malmyeong and analyzing the editorials of shamanism, targeting most of Seoulgut, such as Mansin's Jinjeokgut, Cheongeum Saenamgut, and Cheondogut.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gender characteristics of the Malmyeong personality are generally highlighted as women. Second, it usually appears as a subordinate deity in the distance where a deity related to space is enshrined. It appears not only in the Cheongungbulsa, Sansindodang, and Dutgeon, but also in the abstract space of Bonhyang, the source space related to ancestors, and the underworld, the space of the dead where Sajae Samsung stays. Third, Dashin and Sajae are combined with the divine personality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to assist them. Daishin is a god who is the body master of all gods and an ancestor of a shaman, connecting the family home and the ancestral deity. And Sajae is a god who leads the deceased to the underworld. Both deities are low-ranking deities that are not very high in hierarchy, but they are very important in that they lead humans to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ritual of good and the space of the underworld and communicate with the believer. In particular, based on the third characteristic of the Malmyeong is closely connected to the ancestral worship faith, which can be called the spirit of Korean shamanism, and it can be drawn to the significance of revealing the identity and essence of the shamanism. The significance of the divine Character of Seoulgut's Malmyeong as a form of ancestral worship faith first reveals the spirit of shamanism that connects the living and the dead. This is embodied in the composition of “Bonhyang- Gamang-Malmyeong-Daishin” in Jaesuegut, and in Cheondogut, it is embodi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Siwang-Jungdi-Malmyeong- Sajae Samsung”. Second, the Malmyeong is combined with the lower personality to expand the meaning of ancestors and families. Malmyeong is both a deity enshrined through the gut and a spirit of human death. Those who are subordinate and located in the middle of God and humans do not hesitate to combine with another subordinate, the background miscellaneous, and at this time, they actively utilize the form of 'family-ancestry'. All deceased families are covered by Malmyeong regardless of the hierarchy of relatives.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ism, which defines the learning and succession of new positions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of “mother” and “daughter”, are once again embodied as the Malmyeong. Seoul Gut reveals the weak side of human beings who are helpless in the face of death and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who have been despised for their humble occupations, in the form of the most tight and intense community of “family”. This is the identity and essence of shamanism, a shaman who is a shaman and a priest, and is a valid value to look back on today when exclusion and hatred of the weak are prevalent.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 , , , , , , , ,

Seoulgut, Malmyeong, Divine Character, Family, Ancestors, communication, conn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