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디아스포라 문학은 한국 문학 교육에서 소외되었다. 하지만 디아스포라 문학은 교육 과정에서 중요한 교육 자료가 된다. 디아스포라 문학은 ‘문학의 특수성과 보편성,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의 확장, 다문화 교육, 자아 성찰과 문학 치유’ 등의 문학 교육 내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확립한 리진 시는 문학 교육적 가치가 높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시기이므로 리진 시의 특성이 문학 교육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리진 시의 문학 교육적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디아스포라에 대한 확장적 재인식을 통해 문학 교육에서 학습자들에게 보편성과 특수성을 교수할 수 있다. 또한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재설정하여 문학 교육의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둘째, 리진 시에 드러난 ‘봇나무’ 시어에서 상호텍스트성, 양가적 이미지, 함축성을 발견하여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리진 시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다양성은 문학을 뛰어넘어 문화적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셋째, 청소년기 학습자들은 리진의 시작(詩作) 태도를 내면화하여 자기 치유를 할 수 있다. 리진 시는 기층언어로 창작된 시이기 때문에 청소년기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구체적인 정서를 표현하여 카타르시스를 느낄수 있다. 또한 정체성을 찾는 시에서 자아 성찰의 태도를 학습할 수 있다. 이처럼 리진 시는 문학 교육에서 다양한 접근을 할 수 있는 제재로서 큰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리진 시를 교육하기 위한 교육 과정 및 교수ㆍ학습 방법 등의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Until now, diaspora literature has been alienated from Korean literature education, despite its importance as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expand the concept and scope of Korean literature, and contribute to multicultural education, self-reflection, and literary healing. in this regard, Lee jin’s poetry has great literary educational value in that it establishes a diaspora identity. Because self-identity first takes form in adolescence, the characteristics of Lee jin’s poetry make it suitable for literary education. This study opens a discussion on the literary and educational value of Lee jin’s poetry. Particularly, the poem Botnamu(Birch), because it is steeped in intertexuality, ambivalent images, and implications, is considered a good candidate for educational studies. The diversity of Lee jin’s poetry is thus expected to culturally expand beyond literature. It is also possible to internalize Lee jin’s poetical attitude for self-healing. Since it is a poem using a base language, learners can easily understand and express specific emotions to feel catharsis. In addition, students can learn the attitude of self-reflection in poetry that explores identity. As such, Lee jin’s poetry is of great value as a sanction for various approaches in literary education. The discussion herein is expected to encourage follow-up studies on the curriculum as well as te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education of Lee jin’s po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