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글쓰기는 사적이고 전문적인 능력이다. 2000년대 들어 국문과에서 분리된 문예창작학과는 이러한 전문성을 학문으로 제도화했다. 교양필수 과목으로 안착한 대학 글쓰기는 비판적이고 논리적인 글쓰기 능력을 키우고자 표준화된 커리큘럼을 운영해왔다. 상대평가 체제에서 학생들에게 글쓰기는 강렬하고 자연스러운 ‘내적 충동’이나 타자를 향해 열리는 대화가 아니라 근대적 주체인 ‘나’를 입증하는 지적인 ‘기술’에 가깝다. 이 논문은 억압적이고 폐쇄적인 전통적 공동체가 아닌 새로운 정치적 기획으로서 비동일적인 공동체의 가능성을 글쓰기에서 탐색해보고자 마을인문학의 거점인 독립서점의 비전문적인 글쓰기 프로그램을 연구했다. 독립서점의 글쓰기 프로그램은 이제 막 출발 단계에 있다. 거의 ‘나’의 이야기를 자유롭게 쓰는 ‘개인적 글쓰기’를 택하되, 가끔 출간 작가를 초빙해 피드백을 받아 완성된 글을 제출하고, 기수별 문집을 발행하고 있다. 대개는 강사를 초빙할 예산이 없어 서점 대표가 부정기적으로 모임을 꾸리는 선에서 운영된다. 그럼에도 처음 만난 참여자들은 우정을 나누고 서로를 환대하며 함께 쓰는 과정 자체에서 함께 있음의 의미를 소중하게 여긴다. ‘나를 위한 글쓰기’를 통해 확인한 부모-자식뻘 참여자들의 ‘소통’은 낭시와 블랑쇼가 말하는 ‘무위의 공동체’가 구현되는 장으로 보인다. 참여자들은 결과물의 수준에 관계없이 자신의 이야기를 쓰면서 과거의 나의 타자성과 함께 쓰는 타자들의 타자성에 자신을 개방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임에서 강사는 쓰기 기술을 전문적으로 가르친다는 태도를 버리고 ‘촉진자’로 함께 하는 것이 필요하다. 쓰기 ‘전문가’로 자신을 규정해온 강사에게 쉬운 위치는 아닐 것이나, 공유지론에 따르면 인간의 예술적 재능은 한 개인의 획득물이 아니라 인간 본성에 내재한 ‘신의 선물’이다. 이런 관점에 따라 향후 쓰기 공동체는 ‘사회적 글쓰기’를 통해서도 가능할 수 있다. 구비문학은 이를 위한 공유지의 선물이다.


Today writing represents a professional and professional ability. Entering the 2000s,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separated from the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institutionalized this professionalism as a study. Making a nice settlement as one of the compulsory liberal arts courses, writing has managed a standardized curriculum to cultivate critical and logical writing skills. Under the relative evaluation system, writing is close to an intellectual “skill” for students to demonstrate “themselves” as modern subjects rather than an expression of their intense and natural “internal impulses” or a conversation open to others. This study investigated unprofessional writing programs by independent bookstores as a base of community-based humanitie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 non-identical community as a new political plan rather than the suppressive and closed traditional community. Writing programs of independent stores have just entered their starting stage. Participants in such programs choose “personal writing” to write about almost “my” stories freely, submit their works completed based on feedback from invited writers that published a book, and issue a collection of works by the group. In most cases, such programs remain at the level of holding irregular meetings by the head of a bookstore due to the lack of a budget to invite an instructor. Despite this limitation, participants, who are strangers to one another at their first meeting, share friendship, welcome each other, and cherish the significance of being together in the process of writing together. Checked through “writing for myself,”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nts that have an age gap between them like parents and their children seems like a venue where the “Inoperative Community” mentioned by Jean-Luc Nancy and Maurice Blanchot is realized. Participants open themselves to the otherness of others who are writing with the otherness of themselves in the past, writing about their stories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ir outcomes. This raises a need for instructors to discard an attitude of teaching writing skills professionally and accompany their students as a “facilitator” at such meetings. This might not be an easy position for instructors that have defined themselves as writing “professionals,” but the Commons Theory argues that the artistic talent of human beings is not a personal acquisition, but a “gift from a god” inherent in the human nature. Following this perspective, a writing community will be possible through “social writing” in the future. Oral literature is a gift of commons for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