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붓다[佛]의 출가[出家]사상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여기서 살펴본 내용은 크게 두 가지 측면이다. 제Ⅱ장은 붓다의 출가[出家]에 대한 이해에 대하여 살폈고, 제Ⅲ장은 출가[出家]에 담긴 사상적 특징에 대하여 언급해보았다. 논문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첫째는 붓다가 살았던 인도 당시의 시대적 상황은 출가에 뜻을 둔 사람은 집을 버리고, 출가한 유행자(遊行者)가 되어 진리탐구에 전념하는 현상들이 많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당시 사람들의 마음속에 불안한 내면적 감정들이 그 원인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단면이다. 두 번째, 붓다출가에 담긴 궁극적 목적은 우리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노병사(生老病死)로부터 벗어나 더 이상 윤회하지 않는 무상정등각에 있다. 이 내용은 경전 도처에서 다양한 일화들로써 확인가능하다. 셋째, 출가에 담긴 의미는 일상적으로 소소하게 누리던 세속적 생활을 버리고, 최고의 깨달음이 구현되는 출세간 세계로 들어가서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께 귀의하여 수행한다는 데 있다. 넷째, 출가의 종류와 형식은 출가하는 대상이 누구인가에 따라 출가하는 형식에 다소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 출가수계절차와 출가공덕은 출가초기에는 형식 없이 붓다의 말씀을 통해서 바로 비구가 되었으나, 차츰 승원의 생활방식과 율의 제정에 따라 간접적인 방법으로 수계절차가 한층 더 세밀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출가의 공덕에서 출가한 보살은 네 가지 덕을 갖추고 아란야에 머물면서 계(戒) 지님을 청정하게 하고 자기 몸을 장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행으로 출가자가 얻는 4가지 공덕은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는 유익하고 유용한 가르침이 될 수 있다.


This thesis is an examination of 'Buddha's pravrajā thought'. There are two main aspects to be considered here. Chapter Ⅱ examined Buddha's understanding of pravrajā, and Chapter Ⅲ mentioned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pravrajā. Summarizing the content of the thesis, the first is that in the situation of the times in India when Buddha lived, there were many phenomena in which people who intended to become Buddhists abandoned their homes, became pravrajā, and devoted themselves to the search for the truth. This is a cross-section showing that the uneasy inner feelings in the minds of people at the time were the cause. Second, the ultimate goal contained in the Buddha pravrajā is to free ourselves from the most basic life, death, disease, and death of our human beings, and to attain perfect enlightenment without further reincarnation, which is confirmed by various anecdotes throughout sūtras. Thirdly, the meaning contained in pravrajā is to abandon the worldly life enjoyed in daily life and enter the world of the world where the highest Bodhi [覺] is realized and do Namas to the Buddha, Dharma, and the monk Sambo to Suhaeng. The type and form of pravrajā are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who the subject is. It can be seen that although he became a bhikkhu through the words of the Buddha, the procedure for receiving Sila in an indirect way gradually became more detailed according to the monastic lifestyle and the enactment of Vinaya. Equipped with the four virtues, staying in Aranya, purifying Sila and admiring one's body, the four virtues obtained by a monk through these practices will be beneficial and useful teachings that we can apply in our dail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