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4분법적 갈래체계에 기반한 서사 개념은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중간·혼합적 갈래가 다양하게 출현하는 오늘날 문화환경에는 맞지 않는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조동일의 갈래론에서 정의된 서사 및 소설의 개념을 비판하고 새로운 서사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조동일의 갈래론에서는 교술과 서사의 구분기준으로 사실/허구 여부를 중시하였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서사 텍스트는 사실과 허구가 결합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사실과 허구의 경계는 더욱 불분명해졌다. 따라서 서사는 사실/허구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스토리를 전달하는 텍스트를 포괄해야 한다. 서사를 스토리로 전달하는 양식으로 본다면 劇도 서사에 포함시킬 수 있다. 장르론에서 서술자의 존재는 서사와 극을 구별하는 중요한 요소였는데, 19세기 말 영상미디어가 등장하면서 서술자의 존재방식은 다양해졌다. 또한 판소리와 같은 중간·혼합 장르의 특징은 확장된 서사 범주 안에서 보다 잘 포착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 이후 서사의 형태는 훨씬 다양해졌다. 따라서 과거와 현재의 서사를 통시적으로 조망하기 위해서는 서사 개념의 확장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existing genre theory of pre-modern Korean novels and proposes a revision in order to better fit the current cultural environment. Cho Dong-il’s quadrant genre system, which divides texts into categories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fiction, has been widely accepted in academia but does not adequately account for the emergence of intermediate and mixed genres in the digital age. The Narrative genre should be redefined to include both factual and fictional texts, and drama and narrative should be included in an expanded Narrative mode.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genres, such as Pansori, that emerged can be better captured within the expanded narrative category. Since the emergence of digital media, the forms of narrative have become much more diverse. Therefore, in order to have a comprehensive view of narrative in the past and present, an expansion of the concept of narrative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