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몽배금태조>의 꿈속 서사에 담긴 양명학과 대종교 사상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몽배금태조>는 양명학 사상을 중심으로 하면서 대종교 사상을 활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조선을 비판하고 조선을 재건하기 위한 방략을 논하는 부분에서는 양명학 사상을, 이러한 인간의 국가 재건을 돕는 천상 세계와 신의 철학을 서술하는 데서는 대종교 사상을 차용하고 있었다. 특히, 박은식은 양명학과 유사성이 짙은 대종교 사상을 활용함으로써 두 사상이 부드럽게 습합될 수 있도록 했으며 이를 통해 지상과 천상으로 나뉜 구도를 서사 내에 구축했다. <몽배금태조>는 대종교라는 애국계몽기 신흥 종교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유교, 기독교 등에 근간한 여타의 애국계몽기 몽유록 소설과는 다른 면모를 지녔다 할 수 있다. 대종교 사상이 민간 도교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측면에서, 도교적 요소를 적극 활용한 <몽견제석>보다 <몽배금태조>의 대종교 사상 활용도는 미미했다. 그러나 <몽배금태조>가 제시하는 국난 극복과 문명 재건의 방책이, <몽견제석>보다 근본적이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analyzes Daejonggyo (Daejongism) and Yangmingism in the dream narrative of Mongbae Geumtaejo. The results revealed that Mongbae Geumtaejo centered on Yangmingism while using ideas from Daejonggyo. It borrowed the ideas of Yangmingism to criticize Joseon and discuss potential options to rebuild the country, and the ideas of Daejonggyo to narrate the philosophy of the heavenly world and gods to help people rebuild the nation. In particular, Park Eun-sik used the ideas of Daejonggyo, which shared many similarities with Yangmingism, to smoothly syncretize Daejonggyo and Yangmingism, and subsequently, built the framework of the earthly and heavenly worlds in the narrative. Mongbae Geumtaejo is different from other patriotic enlightenment mongyurok (a genre of novels based on a vision in a dream) novels based o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as the novel used the emerging religion during the period of patriotic enlightenment. Given that the ideas of Daejonggyo originated from Taoism among folks, Daejonggyo was not used in Mongbae Geumtaejo as aggressively as in Monggyeonjeseok, which actively used many elements of Taoism. Still, Mongbae Geumtaejo is evaluated positively, considering that its proposed option to overcome the country’s difficulties and rebuild civilization was more fundamental and deeper than the one in Monggyeonjese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