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 사회에서 자살은 금기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고전소설 속에서 다양한 자살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개인의 행위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규범과 죽음에 대한 관념이 가변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자살 사건을 둘러싼 다층적 맥락을 검토하는 것은 작품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뿐만 아니라 당대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유의미한 작업이다. 이 연구는 국문장편소설에 존재하는 다양한 자살 관련 사건들 가운데 상대방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분명한 목적성을 띠는 자살 시도 양상에 주목하고 부모가 자식을 설득할 목적으로 자살을 시도하는 사례를 의사소통 수단이라는 성격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소현성록>의 왕부인, <유효공선행록>의 유정경은 자식인 상대방을 설득할 목적으로 자살 시도를 감행한다. 이들의 행위는 송신자, 수신자, 메시지가 명확하게 존재하는 의사소통 수단의 성격을 띠었다. 한편 역기능적 의사소통 수단이 선택된 상황적 맥락을 상호성의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행위의 동기, 효과, 상대방의 반응을 살펴보고 위계적 관계에서 자살 시도가 지닌 폭력성을 확인하였다. 부모가 설득의 수단으로 자살 시도를 선택하는 것은 정서적 폭력일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상대방을 가해자로 위치시킴으로써 그 피해자성을 약탈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중층적 폭력임이 드러났다.


Despite the taboo of suicide in Joseon society, we can find various suicide cases in classical novels. Considering that norms that justify individual actions and perceptions of death are variable, reviewing the multi-layered contexts on suicide cases is a meaningful task to not only deepens understanding of the text but also allows us to look into the life of the time. This study focused on suicide attempts with a clear purpose to influence the other person among various suicide-related cases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In particular, the case in which parents attempt to commit suicide for the purpose of persuading their children was examined from the view of a means of communication. Wang-Buin of Sohyŏnsŏngnok and Yu Chŏng kyŏng of Yuhyogongsŏnhaengnok attempted suicide with the aim of persuading their son. Their actions imply the nature of a means of communication in which the sender, receiver, and message clearly exist. Meanwhile, this study examined the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of that behavior, the response of the other person by analyzing the context in which th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eans were sel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reciprocity. Furthermore, the violence of suicide attempts in hierarchical relationships was confirmed. It is emotional violence for parents to choose suicide attempts as a means of persuasion.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there was a double-layered violence based on the fact that it divested victim’s victimhood by repositioning victim as perpet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