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조선시대 과거 시험 성적과 가족 배경이 급제자의 관직 이동에 미친 영향을『『문과방목』과 관련 사료를 기반으로 구축된 급제자 관직 이동 자료를 통해 분석한다. 이를 위해 사건사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관직 이동을 특정 관직 진출 여부에 초점을 둔 정태적인 관점이 아니라 급제자의 생애 전반에 걸쳐 진행되는 동적 과정으로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험성적의 영향은 청요직에 도달하는 시간에서 가장 두드러진 관직 상승의 요인이었던 반면, 가족 배경은 당상관에 도달하는 시간에서 가장 두드러진 관직 상승 요인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두 요인의 영향은 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는데, 초기(태조-성종)에는 시험 성적이나 가족 배경의 영향이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던 반면 중기(연산군-경종)에는 가족 배경의 영향이 가장 두드러졌고, 후기(영조-고종)에 오면 가족 배경의 영향력이 미약해지면서 시험 성적의 영향이 상승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의 관직 상승에는 능력주의적 요인과 신분제적 요인이 중층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그 영향은 시기에 따라 중대한 차이를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exam scores and family backgrounds on the career path of successful candidates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Our analysis reveals that exam score exerted the most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time taken to attain the cheongyo position, while family background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the time taken to achieve the dangsanggwan position.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ese two factors varied significantly across different periods. During the mid-term period (from King Yeonsangun to King Gyeongjong), family background emerged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contrast, exam scores becam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later years (from King Youngjo to King Gojong). These findings illustrate that the career path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in the Joseon Dynasty were shaped by a combination of meritocratic and status-based factors, with the relative effects differing depending on the specific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