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교육격차 확대가 심화되면서 교육이 계층 불평등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열악한 경제적 환경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학업성취를 이룬, ‘학업탄력성(academic resilience)’을 가진 학생들이 적지 않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가정에서 명문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및 사회적 맥락 안에서 겪은 미시적 경험들을 탐색함으로써, 학업탄력성을 촉진하는 매커니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활용하여 명문대학에 입학한 저소득층 학생 33명을 심층면담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탄력성은 주어진 환경조건인 가난을 수용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로부터 발현되었다. 학업탄력성 과정은 외부자원, ’자원연결자‘로서의 교사, 개인의 ’행위자적 주체성‘, ’성적특권‘ 학교문화라는 네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해 촉진되었다. 학생들에게 학업탄력성의 결과인 명문대 입학은 학업적 성공을 넘어 타고난 가난을 극복할 수 있다는 인생의 전환점이 되는 경험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고유한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학업탄력성의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정책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As the educational gap widens due to socio-economic backgrounds, the perception that education is unable to alleviate social stratification has become more widespread. However, surprisingly, there are many students who possess "academic resilience" and achieve excellent academic performance despite disadvantaged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that promotes academic resilience by exploring the micro-experiences that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encounter in school and social contexts. Using grounded theory, the data obtained from in-depth interviews of 33 low-income students who entered a prestigious university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resilience was manifested by the willingness to accept and overcome poverty as a given condition. The process of academic resilience was facilitated by the interaction of four factors: external resources, teachers as "resource connectors," individual "agency," and school culture of "academic privilege." For students, the experience of entering a prestigious university provided a turning point in life that could overcome innate poverty, beyond academic succes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educational policies that support the process of academic resilience in Korea's unique socio-cultural environment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