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입사(入絲)는 조선시대 왕실과 민간의 의례, 일상, 취미, 완물 등 다양한 용도를 지닌 공예품의 장식에 사용된 시문기법이다. 기물의 표면에 음각을 하고 금속으로 된 장식 재료를 감입해 문양이나 문자, 상징 등을 표현했다. 유물과 문헌을 살펴보면 입사기법은 조선시대 군(軍)에서 사용된 물품에도 다방면에 활용되었다. 기물의 꾸밈과 상징, 문자의 전달이나 화포의 심지 구획선과 같이 명확한 표식 등 여러 용도가 확인된다. 현전하는 유물에서 나타나는 유형을 보면 사용자의 직위와 의례의 법식을 나타내는 상징과 꾸밈, 군령 등을 전달하거나 무기에 표식 하는 것과 같은 실용으로 시문 목적이 뚜렷하게 구분된다. 시문기법은 조선시대 공예품에서 사용된 입사의 세부 기법이 두루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군수용품은 중앙의 군기시 소속 장인이 기본적으로 제작하고 상황에 따라 상의원, 제용감, 사옹원 등 다른 관청의 장인과 연계해 만들었다. 양난이 끝난 16세기 말~17세기 초에는 여러 무기가 도입되고 군제와 무예제가 개편 및 정비되었다. 이에 따라 군수용품의 제작을 담당했던 장인의 운영 체제에도 변화가 생겼다. 기존 군기시의 제작은 유지되었고 동시에 훈련도감, 어영청, 수어청, 금위 영, 총융청 등 수도 방위를 담당한 중앙 군영에도 장인을 배치하여 군영에서 필요한 군수물자를 직접 제작할 수 있게 했다. 중앙 군영 소속 장인은 중앙 관청 소속 장인과 동일하게 경공장(京工匠)으로 편제했고 입사장도 그 중 하나로 포함되었다.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중앙 군영의 군수용품 제작을 담당했던 장인의 운영 체제를 통해 현재 유물로 전해지고 있는 조선 후기 군수용품의 입사 시문 양상과 입사장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그간 미술사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미진했던 군수용품에 대한 연구 필요성과 윤곽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을 밝혀 둔다.


The inlaid technique of metal crafts(Ipsa, 入絲) was used in the decoration of crafts with various purposes such as ceremonies, daily life, hobbies, and appreciation items for the royal family and civilian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taglios were engraved on the surface of objects, and decorative materials made of metal were inserted into them to express patterns, letters, and symbols. Analyzing relics and documents, the inlaid technique of metal crafts was also used in various ways for items used by the military during the Joseon Dynasty. Various purposes are confirmed, such as decoration and symbols of objects, delivery of letters, and dividing lines to mark the wicks of cannons. Analyzing the types identified in the current relics, it is clearly distinguished between symbols and decorations that indicate the user's position and ceremonial system, and practical purposes such as conveying military orders or marking weapons. Military suppl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basically produced by artisans belonging to Gunkisi(軍器寺), a government office that manufactures military items at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and cooperated with craftsmen from other government offic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after two major wars, various weapons were introduced and the military system and martial arts system were revised and improved. Accordingly, the operating system of artisans who produced military supplies also changed.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production system, the army in charge of the defense of the capital was also equipped with artisans so that they could directly produce the necessary military supplies. Artisans belonging to the Capital Defense Forces held the position of central artisan (京工匠) the same as artisans belonging to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and metal inlay artisans were included among them. This thesis examines the aspects of inlaid techniques and the role of inlaid crafts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military supplies that have been passed down as relics through the operating system of craftsmen who produced military supplies for the capital defense forc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outline of research on military items, which have been relatively little studied in art history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