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는 자녀의 발달과 재활을 위해 일평생 지속적인 돌봄을 제공하고, 이러한 돌봄부담으로 여가생활을 비롯한 일상생활 전반에 자유롭지 못한 제약을 경험하기 쉽다. 본 연구는 Pearlin과 그의 동료들이 제시한 돌봄스트레스 과정모델(1990)을 기반으로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과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영향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삶 패널조사 3차년도(2020)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발달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사례 260개의 사례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으며,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은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B=.147, p<.01), 여가만족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B=-.134, p<.01). 더불어 여가만족은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과 우울을 매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존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주관적 돌봄부담과 우울 간 관계에서 소외되어 왔던 여가만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돌봄부담으로 인한 어려움을 완화하고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여가생활의 향유와 여가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care burden and depress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260 cas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erived from the 2020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of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al Institute.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and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care burden on depress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significant.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care burden on depression via leisure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 These findings contribute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leisur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care burden and depression in the Caregiving and Stress Process. We provided valuable insight into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imed at minimizing the negative impact of care burden on mothers depression by enhancing leisur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