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중 담화표지에 대한 연구가 많은데 대부분은 부사나 감탄사에 치중하여 밝혔다. ‘은닉적’ 담화표지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본고는 주로 어미 ‘-더라니’를 선택하여 담화표지로서 사용될 때 대응되는 중국어 담화표지는 ‘我说什么来着’와 ‘果不其然’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더라니’, ‘我说什么来着’, ‘果不其然’의 담화표지화 과정, 기능 및 위치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며 두 가지 담화표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담화표지 ‘-더라니’가 ‘일대이’의 특징을 갖추고 있고 의미 공식은 “한국어 ‘-더라니’=중국어 ‘我说什么来着’+‘果不其然’”로 요약할 수 있다. 두 가지 담화표지의 담화표지화의 정도는 차이가 있다. 중국어 ‘我说什么来着’+‘果不其然’의 담화표지화 정도가 더욱 높은 것이다. 그리고 ‘-더라니’는 일반적으로 문장의 우측에 위치되는데 중국어 담화표지 ‘我说什么来着’와 ‘果不其然’은 문장 좌측에 나타난다. 다른 위치에 따라 기능도 다르다. ‘-더라니’는 일반적으로 담화 종결 기능이 있는데 ‘我说什么来着’+‘果不其然’는 담화 시작의 기능이 있다. 두 가지 담화표지는 모두 객관성<주관성<주관성 정도 높고 상호주관성 정도 낮음<주관성 정도 낮고 상호주관성 정도 높음의 관정을 통해 주관성과 상호주관성을 갖추고 있다. 두 가지 담화표지가 모두 TP단계부터 ForceP단계로 이동되는 양상도 있다. 마지막으로 두 가지 담화표지의 핵심의미는 모두 청자를 고려하여 앞에 있는 관점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discourse markers between Korean and Chinese, but most of them have focused on adverb or exclamation.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hidden discourse markers“.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suffix "-더라니" as the research subject, and through corpus examples, confirms that the corresponding Chinese discourse markers when "-더라니" serves as a discourse marker are "我说什么来着" and "果不其然".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ourse markerization process, function, and position of "-더라니", "我说什么来着", and "果不其然", and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iscourse markers. Firstly, it can be seen that the Korean suffix "-더라니" exhibits a "one-to-two" feature, and its grammatical semantic formula can be abstracted as: Korean "-더라니"=Chinese "我说什么来着" + "果不其然". The degree of discourse markerization and the inclusiveness of meaning are different between the two markers. Secondly, "-더라니" is generally located at the end of a sentence while "我说什么来着" and "果不其然" appear at the beginning of a sentence in Chinese. Both markers have 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and show a transition from TP phase to ForceP phase. Thirdly, the core meaning of both discourse markers is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perspective in front of the listener. In terms of function, both marker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herence and the beginning and ending of a dis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