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재 한국의 직업계열 고등학교에는 전체 고등학생의 약 6분의 1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다. 최근 직업계고에서는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 수 감소, 졸업생의 취업률 하락과 대학진학률 상승, 진로미결정 학생 비율 증가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대학 진학이 보편화되면서 일반교육과 직업교육이 함께 이루어지는 통합 고교체제로의 전환을 제안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직업계고 내부에 여러가지 어려움과 문제점들이 있지만, 이러한 문제들을 풀어가려는 시도 없이 직업교육을 축소하고 일반고와 통합할 경우 기존의 문제들이 되풀이될 가능성이 있다. 직업계고의 어려움은 교육 관련 기관의 운영과 관리뿐만 아니라 노동시장에서 직업계고 졸업생들이 차지하는 지위와도 연결되어 있다. 노동시장에서 직업계고 졸업생들이 존중받지 못하면 직업계고에 입학하려는 학생들이 감소하고 졸업생들은 대학 진학을 감행하게 된다. 고등학교 단계에서 일반교육과 함께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것은 교육을 더욱 포용적으로 이끌 수 있고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학생들이 일터로 이행하는 과정을 견고하게 만들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직업계열 고등학교의 위기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직업계고와 관련한 정책적 제도적 보완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About one-sixth of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in South Korea. Recently vocational high schools are undergoing difficulties such a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pply for vocational track, a fall in the employment rate of the graduate students, a rise in the rate of students who do not decide career. In addition, as university entrance became more common, opinions are often released to propose a transition to an integrated high school system where gen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are conducted togeth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vocational high schools, but if vocational high schools are integrated with general high schools without attempting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xisting problems will be repeated. The problem of vocational high school is related not only to the support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institutes, but also to the status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n the labor market. I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re not respected in the labor market, the number of students applying for vocational high schools will decrease and graduates will try to go to universoty. Strengthening gen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at the high school level can lead to more inclusive education and strengthen the transition to work for students who do not go to university. In this paper,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was sought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