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복순, 2023, 한국 우화와 이솝우화의 서사 구조와 담론 비교, 어문연구, 198 : 329~357 본고는 동물우화를 중심으로 이솝우화와 한국 우화에 나타나는 담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서사 구조와 담론 주체의 세계 인식, 그리고 텍스트에 나타나는 지배담론의 성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이솝우화와 한국 우화에 공통적인 화소가 포함되거나 유사한 줄거리를 가진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서사 구조의 경우, 이솝우화는 서로 대립하는 관계를 이루는 인물들의 행위들이 필연적 논리로 연결되며 담론 형성에 필수적인 서사 요건만을 중심으로 간결하면서도 치밀하게 연결된 해결의 플롯으로 구성된 반면, 한국 우화는 서사의 구조적 논리가 다소 느슨하기는 하지만 인격화된 인물을 구축하여 개연성을 높이는 폭로의 플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담론 주체의 세계 인식은 이솝우화는 자연법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약육강식, 적자생존의 담론을 형성하는 반면, 한국우화는 사회법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인과응보와 상생의 담론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이솝우화는 개인주의적 생존을 지배 담론으로 삼은 반면, 한국 우화는 집단주의적 상생을 지배 담론으로 삼는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narrative structure, the discourse subject's perception of the world, and the nature of the dominant discourse in the text to establish the differences between Aesop and Korean fables, focusing on animal fables. The analysis data targeted texts with similar stories and common motifs that appeared in Aesop and Korean fables. Regarding narrative structure, on the one hand, Aesop’s fables comprised plots of solutions in which the actions of characters in opposing relationships were closely connected based on inevitable logic. On the other hand, Korean fables comprised a plot of revelations that increased probability by creating a characterized individual character, although the structural logic of the narrative was somewhat loose. For the case of the discourse subject’s perception of the world, Aesop’s fables form the discourse of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law of the jungle” based on the worldview of natural law, whereas Korean fables created karmic retribution and co-existence discourse based on the worldview of social law. Finally, Aesop’s fables use individualistic survival as a dominant discourse; however, Korean fables have taken as the dominant dis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