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2010년 1/4분기~ 2022년 1/4분기 중 우리나라 일반은행 13개의 자료로구축된 패널데이터를 통해 은행 예대금리차의 변동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예대금리차와 관계를 맺을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을 선별하여 고정효과모형을구축하고, 주요 변동요인을 파악하고자 Shapley decomposition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한국은행 기준금리 조정 및 은행 대출 및 예금 구성의 변화, 각종리스크 프리미엄 변화, 은행의 대출태도 및 대출시장 내 경쟁도 변화가 그간 우리나라 은행 예대금리차 변동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에 은행 예대금리차가 확대되고 변동금리대출 혹은 저원가성예금의 비중이 높아질 경우 그 확대 정도가 증폭되었으며, 은행들은 대출시장 내점유율이 높아지는 시기에 예대금리차를 확대하고 은행 간 경쟁이 촉발되는 시기에는 예대금리차를 축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금리 상승이 예상되는 시기에 변동금리대출 비중이 급격히 확대되는 현상을 완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은행 간적정한 경쟁이 유지되는 가운데 예대금리차가 결정되는 환경을 조성해 나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bank interest margin (loan interest rate - deposit interest rate) using a panel model with data from 13 commercial banks in Korea over the period of 2010-2022. To identify major determinants of interest margin, we applied Shapley decomposition method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fixed-effect estimation. Our empirical findings highlight that the Bank of Korea’s base rate, the composition of bank loans and deposits, risk premiums, banks’ lending attitudes and competition in the lending market acted as major drivers of changes in banks’ interest margins. The banks’ interest margins widened when the base rate rose, and it widened further when the proportion of floating rate loans or low-cost deposits increased. Also, banks widened interest margins when their market share in the loan market increased, and narrowed the margins when competition among banks sparked. These suggest that in order to curb excessive expansion of banks’ interest margins, we need to ease the rapid expansion of the proportion of floating rate loans during interest rate hikes and to continue competition among ba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