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전문대학교는 전문직업인 양성이라는 과제 아래 직업교육과 교양교육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4년제 대학도서관과 비교해서 인력,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전문대학교 도서관의 수가 적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도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 도서관 중심 독서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여 실제 사례를 통해 추진 방안 및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전문대학교의 환경, 독자, 문화 특성을 살펴보고, 미하일 바흐친의 대화주의를 기반으로 읽기와 쓰기를 통합한 독서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독서프로그램은 독서 전, 중, 후 단계에 맞추어 설계되었으며, 텍스트를 읽고 쓰기로 응답하는 과정에서 인성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G대학교 도서관에 실제 적용하였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은 문학 텍스트를 기반으로 삶과 인간에 대한 질문에 자신만의 의미를 담아 응답적 글쓰기로 답하였다. 학생들의 글에는 동일시, 재형상화, 가치관 형성, 위로·공감, 도식화, 사회적 상상력 등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이해가 담겨 있었다. 학생들은 텍스트를 포함하면서, 텍스트를 넘는 의미를 재생산하였다. 이러한 응답적 이해는 주제를 내면화하고, 인성 함양에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의 차별점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이 주를 이루는 전문대학교에서 도서관이 중심이 된 교양교육 독서프로그램 참고모델을 제시하였다. 둘째, 전문대학교 도서관 독서프로그램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추진 방안 및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셋째, 대학도서관 사서의 독서교육자로서의 역량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Under the task of cultivating professionals, the imbalance between vocational education and liberal arts education is deepening. In addition, compared to university libraries, the number of college libraries operating reading programs is small, and related research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library-centered reading program model for junior colleges and examines it through actual cases. The environment, reader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unior colleges were examined, and a reading program that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was constructed based on Mikhail Bakhtin's “dialogueism”. The reading program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pre-, middle-, and post-reading stages, and was applied in the library of G College, after which the case studies were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library-centered liberal arts reading program was presented at a junior college where vocational education was the main focus. Second, a reference model for the library reading program of colleges was presented. Lastly, the need for competence among college librarians tasked with educating students in reading was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