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윤리적 실천을 위해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 어떠한 요건들이 충족되었을 때 보다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실천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전문자격증을 취득한 후 일하고 있는 한국말에 능숙한 한국인 임상 사회복지사(licensed clinical social worker)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범주화 분석과 재분석을 하였다. 최종적으로 발견된 주제들은 ‘항해를 위한 나침판, 나침판으로써의 윤리교육: 반복된 교육’, ‘나침판과 실천 사이에서의 갈등: 내 안의 나와 실천윤리 사이에서의 갈등, 내포된 감정, 실천 오류인정’, ‘윤리적실천을 위한 디딤돌: 슈퍼바이저·동료 간 슈퍼비젼, 자기 점검, 실천가로서의 자부심’등이 있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실천을 위해 윤리교육과 슈퍼비전, 사회복지사의 자기 인식을 위한 실천을 제시하였으며 후속 연구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mportant factors for ethical social work practice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practice more morally and ethically when certain requirements are met.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Korean clinical social workers who were fluent in Korean after obtaining professional certificates in California in the United States. Categorization analysis and re-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The topics discovered were “Compass for navigation, ethical education as a compass: repeated education,” “Conflict between compass and practice: conflict between me and practice ethics, implied emotions, recognition of practice errors,” and “Stepping stones for ethical practice: supervisor-colleague supervision, self-inspection, pride as a practitioner.” The study found that a systematic and institutionalized ethics education and supervision system are important for ethical practice. Subsequent studies were also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