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전문 영역으로서의 디아코니아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시민사회의 속성을 지닌 디아코니아를 정의하고 논증했다. 그렇게 교회는 한편 시민사회로서 활동하면서, 교회 고유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세상에 복음을 전하고 선교한다. 정치 공동체(코이노니아) 인 교회 자신이 가진 고유의 능력은 제도적 공동체 구성을 위해 디아코니아를 전문화하는 것이다. 교회는 ‘대화의 능력’으로 소통의 기술을 발휘하기 때문에 고도의 리더십과 전문성을 가진 협상 기구이다. 그 리더십은 개별 주체가 서로 존중하며 섬기는 것으로 드러난다. 그렇게 교회는 소외와 고립, 배제와 차별 등의 불균형에 따라 사회 주변부로 밀려난 사람들을 공동체 속으로 끌어당긴다. 결국 교회가 추구하는 지역사회 공동체는 그 구성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서로 어우러지며 모두가 협력한다. 따라서 디아코니아는 보다 건전하고 안전한 사회로 이끌어 보편 행복의 수준을 높인다.


This paper deals with a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diaconia as a specialized domain. To this end, the diaconia is defined and with the attributes in civil society are presented. The Church acts as a civil society, preaching the gospel and missioning to the world based on its own identity. The Church has the inherent capacity as a political community (koinonia) to specialize in the diaconia for the construction of institutional communities. The Church is a negotiating body with a high degree of leadership and expertise because it uses its “capacity for dialogue” to demonstrate its communication skills. That leadership is manifested in the respect for and service to individual subjects. The Church associates with people who have been pushed to the margins of society by acts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In the end, the community that the church seeks is a community in which its members voluntarily participate, associate safely with each other, and cooperate together. In this way, the diaconia leads to a healthier and safer society which, in turn, raises the level of universal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