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권위주의 정권기(1993년 이전) 동안 수도권 지역 부랑인 시설(2곳)과 부산지역 형제복지원에 대한 자료 및 증언기록물을 토대로 하여 집단시설의 의료화 및 약물화에 대해 다룬다. 이것은 당시 집단시설 내 부랑인의 높은 사망률(같은 시기 평균보다 20~30배)과 사망원인 중 다양한 정신질환(조현병, 정신박약, 간질, 기질성뇌장애 등)이 기재되어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조사 결과, 부랑인 시설에서 직접 정신요양원을 운영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특성을 중심으로 의료화 및 약물화가뚜렷이 존재하였다. 첫째, 부랑인이 쉽게 정신질환자로 의심되고 이어서 정신과 약물(특히, 조현병 약 클로르프로마진)을 장기간 복용하였다. 둘째, 비의료인 관리자가 정신질환의 진단 및 투여 과정에 관여하고, 그 결과 정신과 약물을 통제의 수단(일명, ‘화학적 구속’)으로 활용했다. 셋째, 형제복지원의 경우 여성 입소자가 부적응 및 불순응등의 이유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정신요양원에 수용되었고 성폭력의 위험에 노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시설에 고용된 의사를 통해 사망진단서가 외인사 원인을 은폐하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시설들은 병원을 직접 운영하면서 의료화 및 약물화를 통해 반인권적 통제를 시행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dicalization and pharmaceuticalization of two mass facilities for vagr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Brothers Home in Busan during South Korea’s authoritarian era (pre-1993) based on existing records and transcripts of testimonies. According to records, homeless individuals in these facilities exhibited a high mortality rate that is 20-30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for the same period, while the causes of death included various mental illnesses, such as schizophrenia, mental weakness, epilepsy, and organic brain disorders. The study identifies four key characteristics of medicalization and pharmaceuticalization among homeless facilities that also housed mental nursing homes. First, homeless individuals were easily labeled as mentally ill and were subsequently prescribed psychiatric drugs (chlorpromazine) for prolonged periods. Second, non-medical personnel were involved in the diagnosis and administration of mental illness, leading to the use of psychiatric drugs as a form of control (i.e., chemical restraint). Third, the Brother Welfare Center admitted a larger proportion of its female residents to mental nursing homes than male residents, which exposed them to an increased risk of sexual violence. Lastly, death certificates were manipulated by facility-employed doctors to conceal violent deaths. This research highlights how mass facilities operated hospitals within their premises and employed medicalization and pharmaceuticalization as mechanisms for controlling homeless individuals, infringing upon their human r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