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노동시장의 핵심 세대로 주목받고 있는 MZ세대에 대한 학계와 실무 분야의 관심이 제고되고 있으며 이들은직장생활에 있어 무엇보다도 워라밸(Work-Life Balance)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개인의 심리적만족상태인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일과 일 이외 영역의 만족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어져 오고 있음에도불구하고 선행연구는 첫째, 각 변인들간의 선형적인 관계를 가정하여 인과관계를 검증했다는 점, 둘째, 대부분횡단면 자료를 통하여 제한된 해석을 제시한 점, 셋째, 각 변인들간의 관계에 있어 세대간 인식차이의 조절효과를규명하지 못한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17차 자료(2014년)부터 23차 자료(2020년)를 통합하여 구축된 2,809명의 7년치 표본(19,663명)을 바탕으로다항회귀분석과 반응표면방법을 통해 변인들간의 비선형적인 영향관계와 이 과정에서 세대 간 차이가 있는지를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의 일치가 주관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Z세대의 경우 주관적 웰빙을 결정하는데 있어 직무만족의 영역이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성세대의 경우 생활만족의 영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세대간 인식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학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지 않은 연구방법론을 통해 주관적 웰빙에 있어 직무만족과 생활만족 두 변인의 개별적인중요성뿐만 아니라 두 변인의 일치도 중요하다는 점을 밝혀내어 선행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최근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 중인 MZ세대에 대한 기존 연구의 흐름과 맞닿아 있는 것으로 MZ세대를이해하고 활용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Interest in the academic and practical fields of the MZ generation,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core generation of the labor market, has been raised and it has been shown that they value Work-Life Balance above all in their life. In this regard, despite the fact tha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hich is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satisfaction: First, the causal relationship was verified by assuming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Second, most of the cross-sectional data presented a limited interpretation, Third, there is a limit in that it does not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the gener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nonlinear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whether there is a generational difference in this process through polynomial regression analysis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based on the 7-year sample (19,663) of 2,809 people provided by KLIPS(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alance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in the case of MZ generation, the area of job satisfac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determining subjective well-being, while the area of life satisfaction is larger in the case of older gener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previous studies by using research methodology that is not actively used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finding out that not only the individual importance of the two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subjective well-being but also the balance of the two variables is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variou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MZ generation, which is in line with the flow of existing research on the MZ generation that is currently being actively conducted in various research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