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One of the well-observed phenomena in psycholinguistics is that comprehending or producing a sentence can be facilitated or guided by previous exposure to a sentence that shares the same syntactic structure. This phenomenon is called “structure priming”. Although structure priming is well observed in many constructions in many languages, not many works have investigated whether unpronounced syntactic or semantic structures can be the subject of prim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iming effect in the processing of Korean null object constructions using a picture-matching task.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oose a picture that matches a given sentence that includes a null object.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choose the picture that matches the sloppy interpretation for a target sentence when the previous prime sentence with a null object was biased to have the sloppy reading. Likewise, the picture that matches the strict reading was more likely to be chosen when the previous prime sentence was biased to have the strict reading. This indicates that the silent linguistic unit can be the subject of priming. Some implications of the observed priming effects on theoretical issues in Korean null arguments are discussed as well.


문장을 발화하거나 듣고 처리할 때, 이전에 듣거나 발화한 문장의 통사구조에 영향을 받아서 이후 문장을 처리하는 현상을 구조점화현상이라 일컫는다. 구조점화 현상은 여러언어의 여러 문장구조에서 다양하게 발견되어 왔으나, 명시적 표현이 없는 생략구문들에서도 점화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 오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의 영논항 구문을 처리할 때 점화효과가 나타나는가를 실험적으로 살펴본 연구다. 문장처리 영역에서 구조점화 현상을 살펴볼 때 활용되는 실험방식인 ‘그림-맞추기’ 실험방식을 채택하여 실험 참가자들이 한국어의 영논항이 포함된 문장의 중의적인 의미 중 어떤 의미로 해석하는가를 바탕으로 점화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점화시험에서 완화해석으로 영논항 구문을 해석한 경우 그다음에 제시된 영논항을 포함한 표적문장도 완화해석으로 해석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엄격해석으로 영논항 구문을해석하도록 하는 점화시험 이후에 제시된 표적시험에서는 엄격해석의 의미를 선택하는비율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생략구문에서 나타나는 점화효과에 대한 논의와 나아가 이러한 실험 연구가 영논항에 대한 통사 이론에 어떠한 함의를 주는가를 논의하였다.